투신사들이 연말과 내년초 만기가 대거 돌아오는 후순위채 처리 해법을 찾지 못해 전전긍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금감원은 후순위채를 발행한 투신 13개사에 대해 만기전에 해결책을 찾도록 주문했으나 아직까지 특별한 해결 방법은 눈에 띄지 않고 있다.
13일 금감원 자산운용감독국 박광철 팀장은 “후순위채 문제와 관련해 가장 심각한 투신사들은 기존 6대 투신사”라며 “하지만 점검 결과 제일과 동양투신은 아무 문제가 없는 상황이며 삼성투신은 스스로 손실을 감당할 수 있는 여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 그는 “현재 AIG와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현투운용은 협상안에 후순위채 손실 처리 문제가 포함돼 있는 상황이며 한투운용은 지난해 후순위채를 발행할 때 보수적으로 가격을 책정해 약 3570억원의 상각을 거쳐 현재로서는 현금흐름 등이 양호한 상황”이라며 “하지만 문제는 대투운용이 CBO펀드에서 6000억원의 손실을 보고 있는 등 대투운용이 자체 손실 보전 방안을 어떻게 마련하느냐가 최대 관심”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내년초 만기가 3년인 후순위채의 만기가 도래할 경우 이에 대한 대비책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유력한 해결 방법은 판매증권사와 투신운용사가 손실을 서로 분담하는 안과 기간연장 등이 대두되고 있으나 완전한 해결책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투신사 관계자는 “증권사가 후순위채를 바이백해 손실을 떠안는 경우와 투신사와 손실을 분담하는 방법외엔 현재로서는 뚜렷한 해결 방법이 없지만 증권사들이 이같은 손실분담을 수용할 지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도 이 같은 방법은 후순위채 문제의 진정한 해결 방법은 될 수 없으며 투신사가 영업이익을 통해 손실을 충당하고 손실규모를 줄이는 방법만이 진정한 해결책이라고 강조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대투운용은 이 같은 현실을 감안해 최근 투기채와 CP의 수요기반을 확충할수 있는 ABS형태의 자산풀링 방안을 마련해 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방안은 투기채를 기초자산으로 해 투자등급 ABS발행을 하고 발행기업이 후순위채를 일정부분 재인수하는 내용 등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방안은 재인수된 후순위채에 대한 충당금 설정 및 손비처리를 정부가 어떤 식으로든 허용해줘야 한다는 점에서 적잖은 부담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부 투신사는 후순위채를 편입할수 있는 5년 이상의 비실명거래 펀드 허용을 통해 상속세와 증여세를 면제할 수 있는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과 전환증권사에 투기등급채권을 편입할 수 있는 확정금리 상품 허용, 그리고 CBO를 대상으로 하는 RP거래 허용 등 후순위채 만기와 관련한 단골 메뉴가 거론되고 있을 정도로 투신사의 유동성 문제가 악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편 후순위채 손실 처리와 관련, 투신사들은 구조조정촉진법에 적용을 받고 있는 현대건설 회사채에 대해 삼성을 비롯해 일부 투신사들이 SPC내에 있는 현대건설 채권을 출자전환하는 작업을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져 관련 채권의 손실이 불가피 한 상황이다.
SPC내에 있는 채권들은 법상 출자전환이 불가능해 이를 해당 회사의 CB로 회사채 보유액 만큼 배정받고 있는 중인데 CB로 전환한다는 것은 금리가 거의 제로인데다 상환기간도 장기여서 해당 투신사에게는 이에 대한 손실 분담을 어떻게 하느냐가 주목거리로 등장하고 있다.
한투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투신사 신탁재산을 뺀 나머지 자산에 대해서는 출자전환하기로 지난번 채권단 협의회에서 결정된 만큼 현대건설 지분 비율대로 출자전환 작업이 진행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출자전환 규모는 대략58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