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창투와 프론티어인베스트먼트 합병 MOU 체결이후 국민은행 자회사들의 향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양 창투사가 국민은행 자회사 중 첫 합병 스타트를 끊은 만큼, 다른 자회사들도 마감시한인 내년 2월까지 거의 같은 수순을 밟을 것이 확실시 되기 때문이다.
만일 자회사 합병이 계속 된다면 그 중 자회사 CEO는 각각 감투 하나씩을 내놓아야 한다.
실타래처럼 얽혀 있는 자회사들과의 관계 속에서 국민은행 자회사 합병의 시금석이 될 창투사 합병 움직임은 우선 개운치 않은 맛을 남기고 있다.
첫 합병 대상인 창투사로 김행장의 손때가 묻은 프론티어인베스트는 설립이후 주택은행과 자회사 사장간의 경영권에 대한 갈등으로 배재광 사장은 떠났고, 그 공백을 손영복 現 사장이 메우고 있지만 아직까지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민창투(舊 장은창투)와 프론티어인베스트먼트간의 합병은 한마디로 문제 자회사를 정리할 수 있는 기회였고, 결국 최근 MOU를 체결했다. 역시 관심의 초점은 자회사 CEO 선임. 프론티어인베스트먼트 손영복 사장이 스스로 말한 바처럼 이미 통합 창투 사장으로 자신이 내정되었다면 도대체 선정 기준이 무엇일까하고 고개를 갸우뚱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언제 합병대상이 될지 모르는 투신운용사 리스사등 자회사 사장들 또한 촉각을 곤두세우고 이를 주시하고 있다. 규모, 영업력, 그리고 수익면에서까지 국민창투와 프론티어는 격차가 크다.
국민창투(자산 835억원, 상반기 66억 700만원 흑자)와 프론티어인베스트먼트(184억원, 12억9100만원 적자)는 자산규모와 경영성과등에서도 비교할 바가 못된다. 그런데도 통합창투 손 사장 내정說이 파다함에 따라 양사의 분위기는 정반대다. 옛 국민은행과 주택은행의 통합 행장선임을 둘러싸고 벌어졌던 모습이 오버랩되는 형국이다.
특히 손사장 내정이 사실이라면 그동안 김정태닫기

이번 창투사 합병시 CEO 선정이 수익성이나 경영성과등 객관적 기준을 제쳐두고 다른 잣대에 의한 것처럼 비쳐질 경우, 남아있는 자회사 수장들은 올 연말을 영업실적 극대화에 힘써야 할지, 국민은행쪽을 향해 안테나를 세워야 할지 난감해 할 수도 있다.
한편에서는 이런 식이라면 주택은행 출신들이 자회사 사장을 독식하지 않을까 하는 성급한 우려마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한창호 기자 ch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