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증권업계에서 끊임없이 나돌던 한투 대투 합병설에 대해 최근 금감위에서 합병은 불가능하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확인돼 향후 독자생존 방향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위 고위 관계자는 26일 “여러가지 다양한 측면에서 한투와 대투의 합병에 대한 검토 작업을 벌인 결과 양사의 합병은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됐다”며 “문제는 한투 대투증권의 최대 수익원인 수익증권 판매 약정고가 점점 떨어지고 있어 이의 보완책 마련과 함께 가급적 빠른 시일내에 매각을 성사시켜야 한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양 증권사 공히 잠재부실 등 부실규모가 워낙 커 매각 협상이 지지부진한데다 정부가 운용사 단독 매각을 원하지 않아 운용사 매각도 현재 난관에 봉착해 있다.
특히 한투증권은 자회사인 한투운용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있는 UBS자산운용에 자회사 매각 협상을 진행하고 있지만 정부가 한투증권의 경영권까지 인수하기를 희망하고 있어 협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UBS측은 증권사 일부 지분과 운용사 인수만을 희망하고 있다.
대투 또한 한투와 속사정은 마찬가지. 최근 서울증권의 대주주인 소로스가 대투증권을 인수하려다 협상이 결렬된 게 대표적인 경우다.
소로스측은 대투증권의 잠재부실을 감안해 향후 2~3년내 발생하는 부실에 대해 정부측에 풋백옵션을 요구함에 따라 협상이 결렬됐다는 후문이다.
한투증권 관계자는 “문제는 증권사 차입금을 지속적으로 축소해 수익이 나는 구조로 회사의 틀을 시급히 바꿔야 한다”며 “경영정상화를 위해서는 현재 5000~6000억원 정도로 평가받고 있는 운용사를 매각해 차입금을 상환하는 것이 불가피하지만 당국의 증권사 동시 매각방침이 걸림돌로 작용해 경영정상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정부가 증권사를 운용사와 묶어 매각하려고 하는 것은 최근 불거지고 있는 공적자금 조기 상환이라는 여론에 밀려 정부가 단독주주로 있는 한투와 대투를 빨리 처리하려는 의도”라고 해석했다.
사실 작년 공적자금을 투입하면서 맺은 MOU 상에서도 한투와 대투증권은 향후 7년내에 수익기반을 확고히 하고 경영정상화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지만 양사의 경영정상화가 여전히 불투명하다고 판단, 정부가 운용사를 포함한 증권사 동시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배경이라고 업계는 추측하고 있다.
이와함께 한투와 대투가 독자생존을 하기 위해서는 좀더 특화된 분야에 전력을 쏟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대두되고 있다.
현재 한투와 대투가 주력하고 있는 투자은행업무중 도매업무보다는 지점영업을 바탕으로 한 소매금융업무를 강화하는 게 장기적으론 수익구조 개선에 훨씬 도움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자본력이 큰 외국선진증권사들도 리스크가 큰 투자은행업무를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섣불리 투자은행업무를 강화하는 것보다는 자산관리에 특화된 그동안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할 수 있는 소매금융에 주력하는 것이 양사의 생존기반이라는 설명이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