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CBO펀드와 뉴하이일드펀드에 편입된 법인자금 6조 1433억원의 만기가 임박함에 따라 새마을금고 신협등 관련법인들의 자금인출 사태마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최근 투신사 관계자들과 후순위채 처리와 관련한 모임을 갖고 업계 공동의 대응책과 각사별 후순위채 처리 현황 파악에 나서고 있다.
5일 금감원 및 투신업계에 따르면 연말에 만기가 집중되는 후순위채 처리에 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후순위채를 편입하고 있는 CBO펀드와 뉴하이일드펀드의 만기가 속속 다가오면서 금융기관 자금의 경우 대거 환매 요청이 있을 것으로 보여 후순위채 처리 문제가 수면위로 급부상하고 있다. 현재 CBO펀드의 법인 수탁고가 12조원으로 이중 새마을금고 등 금융기관 자금이 10조원에 이른다.
이에따라 금감원과 투신권은 후순위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거액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대체 상품 개발에 적극 나설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투신사 관계자는 “과감한 세제 혜택을 부여한 5년이상 장기상품으로 대체하는 것외에는 다른 해결책이 없다”며 “거액투자자들에게 증여세와 상속세 면제를 통해 자금을 유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후순위채 만기에 따른 자금 인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CBO펀드와 뉴하이일드펀드중 만기가 정해진 단위형 상품은 현재 만기 연장이 수월치 않아 판매사가 이를 미매각으로 부담하고 있어 증권사도 부실화될 소지가 높은 상황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이처럼 계속 증권사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정책보다는 투신사도 손실일부는 부담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관련업계간 마찰도 발생하고 있다. 한편 현재까지 CBO 발행 규모는 17조 9922억원으로 이중 선순위채는 10조 2433억원에 후순위채는 8조 3912억원이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