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유가증권 거래 행위에 대한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수익증권의 경우 매매 거래 내역에 대한 파악이 어렵고 이에 따른 수익률 조작 가능성도 높아 불공정 거래 소지가 다분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펀드 실명화를 통해 거래의 투명성을 높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투신업계에 따르면 수익증권 운용상 현행 유가증권 거래 비중이 절대적으로 크나 관련 거래 내역이 투명하지 못해 수익률 임의 조정등 일부 불공정 사례가 불거질 것이 우려되고 있다.
이와는 달리 뮤추얼펀드는 펀드 자체가 회사로 등록돼 있는데다 펀드별로 계좌가 있어 어떤 거래를 했는지 정확한 파악이 가능하지만 수익증권은 보통 한 계좌에 여러 펀드가 동시에 거래를 하기 때문에 어떤 펀드가 얼마나 거래를 했는지 파악하기란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소액 공모펀드의 경우 거액 기관전용펀드에 비해 수익률이 안 좋을 수밖에 없고 투신사는 기관의 부당한 압력에 이를 적극 활용할 개연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투신사 관계자는 “무츄얼펀드는 유가증권 거래시 펀드별로 수량이 얼마고 얼마에 매수 매도 했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지만 수익증권은 집단운용을 통해 이익이 난 자산을 펀드 배분시 기관전용펀드나 스팟펀드, 혹은 투신사 간판펀드에 우선 편입할 가능성이 높아 불공정 시비가 일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른 투신사 관계자는 “외국계 투신사는 펀드를 통한 유가증권 거래시 미리 사전에 이를 각 펀드별로 분배 기준을 정해 거래를 하고 있다”며 “하지만 국내 펀드의 경우는 체결된 평균 가격으로 각 펀드에 자의적으로 이를 분배하고 있는 실정이라 수익률이 공정하게 나오지 않는 이유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더욱이 채권의 경우 수익률이 높지만 충분한 물량확보가 어려울 때 확보된 물량을 기관펀드에 우선해 편입하는게 관례가 되고 있어 공모펀드는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 리스크관리를 할 시점에서도 일반계좌보다는 큰 계좌 중심으로 자금을 우선 집행하는 등 기관위주의 운용 전략은 차제에 펀드의 투명성 확보 차원에서도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라는 게 관련업계의 입장이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펀드의 실명화를 통해 거래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펀드수를 최대한 줄여 대형화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관련업계는 내다 보고 있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