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9년 대우사태와 관련, 대우채권의 손실 보전을 위해 발행됐던 후순위채가 증권업계를 다시 짓누르고 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채권발행시 덧붙였던 풋백옵션 때문. 과거 증권사들이 미매각수익증권을 유동화하기 위해 부실자산들을 풀로 구성해 문제가 될 경우 이를 되사주기로 하고 ABS를 발행했고 투신사들은 CBO, 하이일드펀드에 대거 편입시켜 운용해 왔다. 그러나 최근 해당 기업들의 부실화 정도가 심해지면서 펀드 만기시 이를 증권사들이 다시 사들여 보유비중이 점점 높아가고 있어 관련업계의 경각심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해당 채권의 부실화에 대비해 증권사들은 적정한 충당금을 쌓아야 하지만 충당금을 적립하고 있는 증권사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하이닉스와 현대유화 등 새로운 부실자산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어 CBO, 하이일드펀드 환매에 비상이 걸렸다.
증권사 관계자는 “투신사가 운용하고 있는 CBO, 하이일드펀드의 수익률은 다른 펀드에 비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편입자산의 부실화 우려로 기관들이 환매를 요구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며 “증권사들은 이부분에 대해 풋백옵션을 수용할 수 밖에 없어 손실 규모는 갈수록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증권업계에서는 ABS발행규모가 가장 컸던 삼성증권의 풋백옵션 포함 채권규모가 얼마나 될 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약 4조 8000억원에 달하는 ABS를 발행했던 삼성증권은 선순위 3조원은 이미 시장에 매각했고 나머지 후순위채에 대해 풋백옵션 계약이 걸려 있는 만큼 향후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을 하고 있다. 증권사 관계자는 “현재 삼성증권의 수익증권 판매 규모가 21조원이고 이중 1%의 손실을 적용한다고 해도 2100억원 규모에 머물러 삼성증권의 현재 이익 규모로 볼 때 충분히 감당할수 있는 수준”이라며 큰 타격은 없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에 대해 삼성증권 관계자는 “과거 후순위채 발행시 신용등급 BB 수준 이상의 채권 편입비중이 커 부실가능성이 별로 없다”며 “업계에서 걱정해야 할 사항은 이에 대한 회계처리를 할 경우 당기 손실로 계상할 지 아니면 장기간동안 상각을 통해 손실을 이연시킬 지에 대한 처리 방침을 결정하는게 급선무”라고 반박했다.
또 이 관계자는 “후순위채 만기가 보통 5년 이상인 경우가 많아 증권사들이 미매각 형태로 장기간 상각을 통해 손실을 희석화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한편 후순위채를 대거 편입하고 있는 CBO, 하이일드 펀드는 현재 장부가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에 증권사들이 이를 풋백하게 될 경우 역시 장부가로 떠안야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부담이 커질 것으로 증권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지금까지 증권사가 최근 풋백옵션행사로 보유하고 있는 채권은 서울보증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