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관련 투신사 관계자는 “복수에서 단수로 변경하게 되면 발행사들은 수수료 부담이 줄어들어 자신에게 유리한 신용등급을 주는 신평사와 계약을 체결할 공산이 커 회사채 평가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반대했다.
아울러 투신사들은 기존 복수평가제에서는 두개의 신평사 신용등급 중 가급적이면 낮은 신용등급을 사용함으로써 해당 기업의 부도 확률을 피할 수 있는 견제장치가 있었지만 단수로 평가하게 되면 이같은 장치가 없어져 투신사들도 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투신사들은 11일 열린 금감위 간담회에서 투신권의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굿모닝투신의 강창희 사장은 “신용평가사의 등급을 투자의 잣대로 사용하는 투자기관들은 투자 위험 판별시 신평사들의 의견에 큰 영향을 받는다”며 “신평사들은 가급적 신용등급을 좀더 우호적으로 부여하려는 경향이 있고 관련기관간 이해관계가 상충될 수 있어 해당 기업에 대한 엄격한 평가를 실시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단수평가제가 시행될 경우 신평사들도 직접적인 타격을 받는다는 점이다. 단수평가제가 시행될 경우 일단 기존 평가 수수료가 절반으로 줄어들게 돼 수지 악화가 예상되고 이러한 경영악화는 신평사들이 해당 기업에 대한 신용등급을 객관적으로 부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염려를 낳고 있다.
투신사 관계자는 “현재 복수평가제도 문제가 적지 않은 상황인데 신용평가에 대한 객관성이 떨어지는 단수평가제를 실시하겠다는 것은 신용평가 시장이 성숙이 채 안된 상황에서 관련시장의 발전을 저해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또 그는 “단수평가제는 신용평가 수준의 저하와 신용리스크 상승으로 투자 기준에 대한 객관성을 떨어뜨려 투자자는 물론 신용기관들도 투자 위험에 노출되는 정도가 높아진다”고 덧붙였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