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한 펀드내에서 두가지 가격이 존재하는 비논리성 때문에 당초 입장을 바꿔 모든 펀드를 시가평가 대상으로 확대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채권 평가사들의 시장 규모 또한 넓어질 것으로 보여 관련시장의 활성화도 예상되고 있다. 한편 시가평사 수수료에 대해 시가평가사와 투신사들이 수수료에 대한 입장 차이가 있어 조만간 협의 과정을 통해 수수료율이 결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투신업계에 따르면 시가평가 의무화에 따라 투신사들이 당초 입장을 바꿔 시가평가 대상 펀드를 전 펀드로 확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시가평가 수수료는 채권 종목당 0.5bp였으나 투신사들이 수수료가 높다는 점을 들어 이를 낮춰줄 것을 건의하면서 현재 관련업계의 협의가 진행중이다. 투신사들은 한 펀드에 복수 가격을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0.5bp라 할지라도 실제로는 1bp가 되는 만큼 펀드에서 부담하는 비용이 너무 크다고 불만을 제기해 왔다. 투신사 한 관계자는 “펀드 규모에 상관없이 시가평가 서비스 내용은 동일할 수 밖에 없어 수수료율을 낮추는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이에대해 시가평가사 관계자는 “당초 제시한 방안에 따르면 펀드 규모에 따라 수수료율을 달리 적용하는 체차식 수수료 방식이 채택이 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채택이 되지 않았다”며 “따라서 지금까지 투신사와 협의한 내용은 0.5bp에서 부가세를 시가평가사들이 부담하는 수준인 0.4bp로 얘기가 되고 있지만 이번주 회의 결과에 따라 수수료율이 더 내려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