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는 공적자금 조기 회수를 위해 공적자금이 투입된 한투와 대투에 운용사 지분은 물론 증권사 지분까지도 일괄 매각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갑자기 매각 방식을 변경함에 따라 지금까지 진행해오던 매각 작업이 일부 변경될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정부의 일괄매각 방침에 대해 대투 고위관계자는 “운용사 단독 매각은 판매 채널을 필요로 하는 원매자의 요구에 의해 증권사 지분까지도 같이 매각해야 한다는 현실적인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러나 이미 운용사 매각 과정에서 증권사 지분도 같이 매각한다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새로울 것은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현실적으로 중요한 것은 일괄매각이든 단독매각이든 지금 시점에서 매각이 과연 가능한가라는 문제”라며 “기존에 추진해오고 있던 매각방식에 변화는 없다”고 말했다.
한투 또한 정부에 요청한 UBS자산운용과의 우선협상권이 안될 경우를 대비해 다른 원매자와 접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투 관계자는 “UBS자산운용과의 전략적 제휴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매각을 한다면 UBS측에 증권사 지분을 매각하는 등 우선협상권을 부여하는게 바람직하다”며 “그러나 우선협상권이 안될 경우를 대비해 새로운 원매자와 접촉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 관계자는 “정부가 매각 방식을 변경한 것은 공적자금 조기회수 여론에 밀려 현대투신과 AIG매각 과정처럼 정부 주도로 매각을 진행시키겠다는 의도로 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