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금융상품 포지션이 떨어지는 중소형사들이 기관 물량을 덤핑 판매하는 사례가 급증하면서 고객 관리 등 상품 위험관리를 하지 못해 고객 분쟁 등이 발생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같은 금융상품 판매 수수료 인하 추세가 증권업계의 수익을 떨어트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증권업계의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증권사 관계자는 “최근 들어 일부 중소형사 법인팀이 특정 기관들의 물량을 판매하면서 판매 수수료를 대폭 할인해 팔고 있는 추세”라며 “이럴 경우 관련 증권사들은 판매 수수료 인하에 따른 손실폭을 만회하기 위해 관련 투신사에 주식 약정을 요구해 수익보전을 시키는 등 부작용이 속출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 같은 중소형사 법인팀은 기관 물량을 확보하는 대가로 판매수수료의 70%이상을 인센티브로 가져가고 증권사가 나머지 수수료를 받아 향후 고객과의 환매 분쟁시 이를 따질 만한 명확한 책임 소재가 불투명해 진다는 점이다.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통상 법인팀들은 팀별로 움직이는게 관례화 돼 있어 사고가 발생할 경우 타 증권사로 자리를 옮기는 등 모럴해저드가 극심해지고 있다”며 “고객들이 금융상품을 선택할 경우 이 같은 사실을 충분히 인지하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기관들도 이런 추세에 발맞춰 판매사에게 금리 입찰을 붙여 네고 수익률을 요구하는 등 상품에 대한 검증없이 수수료에 치중하는 경향이 노골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향후 증권사 수익원이 금융상품 판매 비중과 직결되기 때문에 금융상품 판매 비중이 낮은 중소형사 증권사들은 상품에 대한 고객 관리는 제쳐두고 수수료만 벌어들이려는 행위를 서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증권사 관계자는 “메릴린치의 경우 판매 수수료를 3%이상 받는 등 국내 증권사보다 훨씬 높은 수수료를 받고있지만 고객들은 이에 상관없이 메릴린치와 거래를 하고 있다는 점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많다”며 “이는 고객들이 수수료에 상관없이 금융상품에 대한 증권사의 리스크관리와 컨설팅 역할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증권사들은 고객들이 수수료가 싼 상품만을 찾는다면 나중에 상품과 관련해 사고가 일어날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을 따지기 힘들기 때문에 검증된 상품을 선택하는게 최선의 방책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