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보증보험이 최근 투신권에 지급해야 할 보증사채 규모중 일부를 탕감해달라는 입장을 투신권에 공식 제기하면서 서울보증채 문제가 다시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서울보증은 현재 확보된 공적자금 5조 6000억원을 투신권에 투입하더라도 내년 9월부터 가용유동자산이 부족해 예보와 맺은 경영정상화가 불가능하다며 보증채무를 조정해달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투신권은 서울보증이 자체 경영정상화를 위해 보증채무를 일부 탕감해달라고 요구한 것에 대해 이를 수용할 입장도 아니고 결정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대꾸할 가치조차 없다고 서울보증을 강력 성토하고 나섰다.
서울보증이 자체 경영정상화를 위해 자구 노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하나 지금까지 돈이 없다는 이유로 투신권에 일방적으로 보증채 원리금 대지급을 거부한 사실은 망각한채 또 다시 손실을 투신권에 전가하려 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에 따라 투신권은 지난 13일 투신사 사장단 모임을 통해 이 같은 투신권의 공동입장을 건의문 형식으로 채택해 16일 금감위에 이를 전달할 계획이다.
서울보증은 보증사채 중 대우계열채권, 워크아웃채권, 삼성자동차 등 미상환액이 6조 2802
억원에 달해 13일 투입된 공적자금 1조를 제외한 4조 6000억원으로는 전액 대지급하기가 곤란하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따라서 대우계열채권은 총 5조 293억원의 원리금중 3804억원은 차환발행을 하고 나머지 5489억원은 감액을 하는 등 보증사채 규모 총 6조원중 지연이자 2000억원을 포함한 8199억원을 감액해달라는 입장이다.
투신사 관계자는 “서울보증이 보증사채 투신사별 규모도 파악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일률적인 감액 금액을 결정해 수용을 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보증기관으로서의 자질에 의문을 갖게 하고 있다”며 “만일 투신권이 이 같은 요구를 수용한다면 한투 대투 현투 등 3투신사들은 손실규모가 1000억원 이상이 발생하는 등 감당하기가 힘들어질수 있다”고 말했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