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이근영 금감위원장은 "임시주총 소집 등 채권단의 요구가 수용되고 있으며 대주주 완전감자 등에 따른 현대건설의 반발은 없을 것"이라면서 "대주주외에 현대아산과 석유화학 등 관계사가 보유한 건설지분도 채권단이 완전감자를 요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정몽헌 회장이 앞으로 건설에서 공식직함은 못가질 것"이라면서 "부실경영에 책임있는 경영진은 전면 교체하기로 했고 완전감자란 이같은 점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최근 대주주 완전감자 등과 관련, 현대건설이 반발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정몽헌 회장은 수용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알지만 수십년간 현대건설에 몸담았던 임직원들은 동요가 있을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면서 "하지만 현재 진행되는 상황을 감안할 때 채권단의 요구가 대부분 수용되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채권단이 보유하게 될 CB를 매각할 경우 현대계열사 인수 가능성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제한할 방법은 없지만 계열사 인수는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일각에서 바이백 옵션을 얘기하는데 그런 것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하지만 정몽헌 회장이 다른 데서 돈을 벌어 건설주식을 사겠다고 하면 그건 못 살 이유가 없고 채권단이 못 팔 이유도 없다"고 덧붙였다.
이 위원장은 향후 현대건설 임시주총이나 이사회에서 현대건설측이 정회장을 경영진으로 추대할 가능성에 대해 "1~2달안에 완전감자로 대주주가 바뀌는데 현대건설이 그런 행동을 할 이유가 없지 않느냐"며 일축했다.
또 "현대건설의 경영공백이 일어나지 않도록 채권단이 제반 조치를 취할 것"이라면서 "임시주총까지 파견할 자금관리단의 업무범위와 인원, 역할 등에 대해 채권단이 조만간 결정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감사기업의 과거 부실을 현실화했다는 이유로 회계법인을 특별감리 대상에 포함시키는 등 문제삼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 "분식회계 근절 종합대책은 관련법 개정 등을 포함해 종합적으로 검토가 이뤄지고 있으며 관계부처간 협의가 끝나는대로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위원장은 올해 은행의 기업 신용대출이 정착되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문병선 기자 bsmoo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