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경제부 관계자는 28일 “경제장관 간담회를 열어 현대건설 처리문제를 논의했지만 두가지 해법 사이에서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며 “29일 채권금융기관 협의회에서 해법을 최종확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연수 외환은행 부행장도 “주채권은행으로서 현대건설 처리 입장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정부와 채권단이 딜레마에 빠진 이유는 현대건설의 자본 잠식액이 당초 예상보다 크게 웃도는 3조원에 달하기 때문. 출자전환을 하더라도 이번주말 만기도래하는 10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결제하려면 신규 유동성 지원이 불가피한데, 자본잠식 상태에서는 회사채 차환발행과 신규발행이 불가능하다. 또한 산업은행의 회사채 신속인수제도 자본잠식 기업에는 적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법정관리를 실시한 후 추후에 출자전환을 검토하는 대안이 나왔지만 당장 대외 신인도 하락으로 인해 신규수주가 어렵게 되고 현대건설의 부도위기는 더욱 커지게 된다.
이는 채권단과 정부가 누차 밝힌 ‘회생가능성 기업에 대한 지원’ 원칙을 적용할 수 없게 하는 악순환이 연출된다는 것이다. 현대에 대한 특혜시비가 또다시 일 가능성도 있다.
이외에도 은행권의 부실이 불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정부와 채권단을 딜레마에 빠뜨리고 있다. 은행권의 현대건설에 대한 총 대출금은 현재 1조3567억원. 이를 모두 액면가 5000원으로 출자전환하면 시가 1300원과의 차액만큼 주당 평가손을 감수해야 한다.
문병선 기자 bsmoo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