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소식통들에 따르면 연구에 소요되는 기간은 6~7개월 가량 걸릴 것으로 보이며, 주로 미국보다는 유럽 각국의 사례가 벤치마킹될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증권업계 관계자는 “증권 유관기관 구조조정을 위해 지주사 설립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정부가 이미 외국 컨설팅사에 관련 연구를 의뢰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확한 컨설팅 회사와 의뢰 시기는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는 지난해 선물거래소로 코스피200 지수선물을 오는 2004년 이관하는 문제가 확정되면서 동시에 유관기관 지주사 계획이 수립됐고, 용역 의뢰가 끝났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다만 금융연구원과 증권연구원에는 정부가 용역을 의뢰하지 않았는데, 이는 이들 연구기관이 증권 유관기관들의 로비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용역 의뢰와는 별도로 증권연구원은 자체적으로 유관기관 지주사와 관련된 연구에 착수했다. 이를 위해 증권연구원은 우영호 부원장을 비롯, 이정범 수석 연구원, 외부인사 3인, 내부 연구진 등이 포함된 T/F팀을 구성했다.
T/F팀은 이를 위해 3월 첫째주 미국 등 외국의 증권 유관기관 사례를 시찰했다. 우 부원장은 이와 관련 “6~7개월 가량 연구를 해봐야 최종 결과가 나올 것”이라며 “외국의 사례가 그대로 도입된다거나 한국의 사정에만 지나치게 치우치는 결과가 나오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증권연구원의 연구결과는 정부가 의뢰한 컨설팅 결과에 대해 보완적인, 때에 따라서는 비판적인 논점을 견지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편 정부는 직간접적으로 증권 유관기관에 대한 구조조정 방침을 밝히고 있다.
이미 증권업협회와 증권예탁원의 CEO는 올 초 교체됐다. 5월 임기가 만료되는 박창배 증권거래소 이사장과 이번달 임기가 끝나는 김경중 증권전산 사장 등도 교체가 확실해 보인다. 이 외에도 정부는 추가적인 인력 감원과 조직 축소 등을 골자로 하는 구조조정 방안을 간접적으로 업계에 흘리고 있는 상황이다.
문병선 기자 bsmoo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