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머리CBO(채권담보부증권) 시장이 급격하게 경색되고 있다. 상반기에만 10개 컨소시엄이 총 9조원 규모의 P-CBO를 발행할 예정이었지만 대부분 증권사가 아직 자산 풀링에도 나서지 못하고 있다. <표 참조>
신용보증기금의 기업 보증한도가 거의 소진됐고, 회사채 시장이 살아나며 기업들이 직접발행을 선호하면서 P-CBO의 매력은 떨어지고 있다. 게다가 P-CBO를 발행하는 기업은 부실회사라는 이미지가 각인돼 있어 관련 기업들이 극도로 꺼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대투-현대-산은, 신한-부국-하나, 세종증권 단독 등 3개 컨소시엄이 1조8622억원 어치의 P-CBO를 지난 23일 발행했다. 이는 당초 예상됐던 3조원의 62%에 불과한 수준이다.
컨소시엄 관계자들은 “P-CBO 발행 희망기업에 대한 신용보증기금의 보증한도가 거의 소진된 상태”라며 “이 때문에 당초 예상했던 규모를 채울만한 기업이 부족했다”고 밝혔다. 대표적으로 현대, 금호, 한솔 계열사들이 거의 한도를 소진하는 등 발행대상 기업이 부족한 실정이다.
3월과 4월에 발행을 예정했던 나머지 7개 컨소시엄은 아예 자산풀링을 시도하지도 못하고 있다. 컨소시엄 관계자들은 P-CBO 발행 계획이 철회될 가능성마저 큰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4월 발행 예정인 한 컨소시엄 관계자는 “트리플B 등급 회사와 A 등급 회사의 사채 비율이 적절히 조화가 돼야 전체 자산 풀링이 이루어지는데 우량기업은 대부분 직접 회사채를 발행하려고 한다”며 “이렇게 되면 적절한 등급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발행자체를 연기할 수 밖에 없다”고 전했다.
예정됐던 P-CBO가 발행되지 못하면 대부분 기업의 자금조달 창구가 회사채로 몰리게 되는데, 이는 조금씩 살아나고 있는 회사채 시장을 또다시 경색시킬 여지가 크다는 지적이다. 수요보다는 공급이 초과해 회사채 금리가 치솟는 기형적인 시장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컨소시엄에 참여한 증권사들은 신용보증기금에 기업의 보증한도를 늘려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재정경제부는 P-CBO 발행기업에 대한 100% 보증을 공언했지만 실제 담당 창구인 신보의 보증은 총 발행기업의 신용 대비 50~60%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신보는 “정부가 모든 책임을 떠맡지도 않으면서 위험만 신보에 전가시키려 한다”며 증권사의 요구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문병선 기자 bsmoo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