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이들 은행의 경영개선계획은 자체적인 증자안 마련, 노조와의 인원 조정 협의, 다른 은행 계획과의 조율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9월 말 데드라인까지 가봐야 구체적인 모습이 드러날 전망이다.
21일 금융계에 따르면 제주은행은 부실여신 클린화 방안과 이를 위한 증자 방안·규모를 놓고 고심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은행의 경우 98년 금감원의 경영개선권고를 받아 수립한 경영개선계획대로 인원과 점포를 줄여왔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감축 부담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은행의 인원과 점포는 98년 이후 각각 350명, 10여개씩을 줄여 현재 400명 및 34개 수준이다. 다만 이익이 나지 않은 한계 점포의 소폭 조정에 따른 인원 감축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제주은행은 자본금 증대 방안으로 외자유치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현재까지 여러 개의 외국 금융기관이 관심을 갖고 관련 자료를 받아간 상태지만 포드의 대우차 포기등의 여파로 매우 조심스러운 상태라 결과는 미지수라는 분석이다.
한편 제주은행은 BIS비율 10%를 맞추기 위해서는 700억원 규모의 자체 증자나 정부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실여신 매각에 따른 비용과 자산관리공사에 매각한 워크아웃업체의 채권이 환입될 경우를 감안, 추가 비용을 산정하고 있어 경영정상화를 위해서는 1000억원이 넘는 자본금이 필요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편 광주은행의 경우도 올들어 170여명이나 퇴직해 직원이 1300여명 수준으로 감소해 추가적인 인원조정이 부담스러운 형편이다.
광주은행도 절대 규모에서는 인원 감축 여지가 없지만 한계점포 정리에 따른 소폭의 인력조정이 있을 예정이다.
광주은행은 BIS비율 10%를 맞추기 위해서는 4000억원 정도가 소요되지만 제주은행과 마찬가지로 부실자산 매각에 따른 손실 등을 고려하면 그 이상의 자본금이 필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송훈정 기자 hjsong@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