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련은 19일 "지난번 은행파업 당시 정부가 정부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독립적인 인사들로 민간 경평위를 구성하기로 먼저 제안해 금융노조가 이를 수용했다"면서 "이에 따라 금융노련은 노사정위 금융특위를 통해 대표 2명이상을 경평위에 참여시켜 줄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고 말했다.
또한 금융노련은 경평위 참여외에 보다 엄정하고 정확한 평가를 위해 경평위를 가급적 조기에 구성할 것과 은행구조조정을 인력감축 위주로만 추진하지 말 것 등 3가지 사항을 정부에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금감위 측은 정부가 경평위에 어떤 영향력도 행사하지 않는다는 방침이기 때문에 위원장 인선만 이뤄지면 위원장에게 금융노조측으로부터 이같은 요구가 있었음을 알려줄 방침이라고 밝혔다.
금감위 관계자는 "민간 경평위의 경우 이달 안에 구성하도록 계획이 잡혀있으며 위원장 인선을 위해 사람들을 접촉하고 있지만 당사자들이 고사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인선작업이 쉽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금감위는 이에 앞서 지난달 31일 한빛 조흥 외환 평화 광주 제주 등 6개 은행에 대해 9월30일까지 경영개선계획을 제출할 것을 요구했으며 9월중에 민간 경평위를 구성, 10월중 이들 은행이 제출한 경영개선계획을 평가해 정상화 여부를 결정짓기로 했었다.
민간 경평위에서 자체 정상화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BIS비율 10%를 맞추는 수준까지 공적자금이 투입돼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로 편입된다.
송훈정 기자 hjsong@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