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총재는 15일 오후 서울 명동 은행회관 뱅커스클럽에서 열린 은행장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최근 은행들이 신용위험이 상대적으로 작은 가계대출에 주력하는 경향이 있는데 금융권이 실물경제 성장을 원활히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기업금융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철저한 신용분석을 통해 일시적으로 유동성 부족을 겪고는 있지만 기술력과 성장성이 있는 기업을 가려내 적극 지원하는 것이 은행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총재는 "한국은행도 최근 가계대출보다 기업대출에 주력하는 은행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총액한도대출의 배정방식을 변경했다"며 "앞으로도 이같은 시책을 지속적으로 벌여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행은 기업에 대한 원활한 금융지원과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기업구매자금 대출제도와 유동성 조절 대출제도, 일중당좌 대출제도를 도입했다"며 "이같은 제도들이 도입취지에 맞게 운용될 수 있도록 협조해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일부 중견대기업의 자금사정 악화에서 비롯된 신용경색 현상이 신축적인 통화정책과 채권전용 펀드 운용 등 금융시장 안정대책에 힘입어 점차 완화되고 있으나 금융시장의 구조적 취약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이밖에 은행의 영업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 만큼 이에 적응할 수 있는 대내외적인 시스템을 조속히 확립, 금융시장이 불필요하게 동요하는 일이 없도록 은행을 잘 이끌어 줄 것을 은행장들에게 당부하기도 했다.
송훈정 기자 hjsong@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