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지방은행들은 합병과 공적자금 투입 등에 의해 거대·클린 은행이 탄생하면 생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판단아래 미리미리 준비를 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금감위가 처음에는 6개 지방은행중 4개 은행에 대해 경영개선 계획을 내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가 시장에서의 충격 등 부작용을 감안해 ‘정치적인 판단’에 따라 2개 은행을 제출 대상에서 제외해 주었기 때문에 지방은행들은 암묵적인 구조조정 압박을 더 받는 상황이다.
7일 금융계에 따르면 부산은행의 경우 10월 이후 현재 2080명에 이르는 인력 구조조정에 들어가 100~200명 정도를 감축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과잉 인력이 많은 3~4급 중심으로 인원을 줄일 방침이다. 이를 위해 최근 명예퇴직을 실시한 다른 은행들의 사례를 조사 분석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은행은 이와함께 내년 1월부터는 사업부제를 본격 실시한다는 방침아래 준비작업을 하고 있다.
경남은행도 마찬가지이다. 아직 인원 감축 등의 일정이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내부적으로 논의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10월 이후에는 인원 구조조정에 들어갈 것으로 관측된다. 대구 전북은행도 타 은행의 추이를 봐가며 감축 인원과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지방은행 관계자들은 “잠재부실을 반영한 BIS 비율이 8%를 넘어 4개 은행이 정상화 대상에서 제외되긴 했지만 추가부실 등이 발생할 경우 언제든 BIS 비율이 크게 떨어질 수 있고 특히 2차 구조조정 이후 합병 및 지주회사 등으로 무장한 대형 은행들과 경쟁을 감안하면 지금부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자발적 구조조정 노력이 시급한 형편”이라고 설명했다.
송훈정 hjsong@fntimes.com
송훈정 기자 hjsong@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