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금융계에 따르면 은행들은 공동으로 신탁 활성화 대책을 마련, 당국에 건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와 관련 각 시중은행 신탁 담당자들은 지난 8월말 1차 회의를 갖고 9월 중순까지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은행신탁은 올들어 주식시장 침체 및 신뢰성 추락 등으로 고객 이탈이 급증해 총수탁고가 지난 8월말 90조원이 무너지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은행들이 강구중인 은행 신탁 활성화 대책으로는 신탁 만기를 단축하고 세제혜택을 허용해 투신과의 형평성 문제를 해결하거나 다양한 상품 개발의 자율성 보장 등이다.
특히 은행 관계자들은 개발신탁의 자산부실 문제가 당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은행들은 지난해 말 신탁계정이 보유하고 있는 부실채권을 신규 수탁이 중지된 개발신탁에 몰아넣었지만 고객들에게는 확정이자를 지급해야 하기 때문에 이 부담을 고유계정 차입으로 해결해 왔다.
또 은행의 다른 신탁 상품의 정상채권은 충당금적립이 면제되지만 개발신탁은 확정 금리형 상품이기 때문에 은행 고유계정과 마찬가지로 자산 건전성 등급에 따라 충당금을 쌓아야 하는 부담도 크다. 또 내년부터 은행예금이 2000만원까지만 보호됨에 따라 개발신탁도 올해까지만 원금이 보장돼 고객들의 불안에 따른 이탈을 막을 수가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각 은행들은 현재 고유계정에서 이자를 지불하며 자금을 차입해 고객들에게 상환해 줘 개발신탁에 남아있는 자산 규모가 고객 수탁고의 몇 배가 넘은 은행이 대부분이다. 일례로 주택은행의 경우 현재 개발신탁 고객 수탁고 잔고는 1700여 억원에 불과하지만 개발신탁이 보유한 자산 잔고는 7000억원이나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신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은행들은 개발신탁의 만기를 연장하거나 신탁이 보유한 현물 자산 등으로 차입금을 환원하는 방법을 검토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 신탁의 부실자산을 고유계정에 넘기는 방안도 강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도 은행 수탁고 급감에 따른 자산부실화 문제 등의 심각성을 인식, 대책마련에 나서 9월말 정도에는 은행신탁 활성화에 관련된 대책이 수립될 전망이다.
송훈정 기자 hjsong@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