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금융권 전산아웃소싱과 백업센터 마련 등 굵직한 사항들이 아직까지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어떻게든 이같은 IT도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선진 금융기관들에 비해 국내 금융권 전산경쟁력이 뒤쳐질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SI업체와 금융기관은 전산아웃소싱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SI업체는 비즈니스차원에서 찬성하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금융기관의 경우 전산아웃소싱은 선진기술도입으로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비용절감도 가능하며, 금융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등 2~3중 효과를 누릴 수 있다며 긍정적이다. 반면 전산아웃소싱에 대한 당국은 아직까지 입장정리가 명확하지 않다. 전산아웃소싱에 대해 기준마련이 힘들다며 빠른 시일내에 제도적 장치를 만들겠다는 원론적 입장만 반복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제도적으로 아무런 장애도 없지만 아웃소싱을 하려면 받아야 할 감사 등으로 인해 진행 자체가 힘들다”며 “금융권 실무자들의 의견이 제대로 수렴되지 못하는 것은 당국이 전산아웃소싱으로 인한 책임에 민감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즉 당국은 아웃소싱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면 아웃소싱에 대한 정책입안자로서 고객들의 비난을 받을까 두려워한다는 것.
당국이 전금융권을 대상으로 요구하고 있는 백업센터 구축에 대해서는 사정이 정반대이다. 백업센터 구축은 당국과 SI업체가 찬성하는 반면 금융권에서는 반대하고 있다. SI업체들의 찬성 명분은 전산아웃소싱과 같은 영업적인 측면 때문이며 당국은 예기치 못한 전산사고를 대비 고객정보와 거래정보 등을 보호할 수 있는 백업센터가 꼭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적극적이다. 이에 반해 금융권 실무자들은 현재 유지 관리하고 있는 시스템들로도 충분히 데이터를 보호 할 수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또한 당국이 말하는 예기치 못한 사고란 전쟁이나 대규모 자연재해와 같은 것들 인데 그런 사고가 발생시 백업센터는 온전할 수 있냐며 당국의 종용에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관련업계와 금융권에서는 당국과 대책회의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분분하다. 특히 SI업체의 경우 실익만을 따질 것이 아니라 효과적인 선진사례를 들어 확실한 입장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말이다. 또한 당국도 책임회피식의 사고를 버리고 금융권과 관련업계 실무자들의 논의를 귀담아 들을 준비를 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임상연 기자 sylim@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