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투신업계에 따르면 투신권은 만기가 다가오고 있는 CBO펀드와 지난 6월부터 만기가 도래한 하이일드펀드의 투기등급채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에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신상품을 허용해 달라는 건의를 해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지난달 비과세CBO 펀드 허용을 요구했던 투신사들은 투기등급채권을 소화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이를 편입할 수 있는 신상품 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다는 입장이다.
업계에서 요구하고 있는 신상품은 이들 채권을 편입할 수 있도록 자금유입이 돼야 한다는 전제에서 종합과세 면제나 증여세, 상속세를 면제받을 수 있는 무기명 상품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이들 상품을 허용해주기 위해서는 관련 세법을 개정해야 하는데다 조세형평성 차원에서도 투신권에만 계속 특혜를 줄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투기등급채를 해소하기에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현재 이달부터 만기가 집중되는 CBO 펀드는 연말까지 2조4000억원에 달해 50%까지 투기등급채와 후순위채를 투자하는 펀드의 속성상 1조원 정도가 투기등급채로 분류돼 이에 대한 해결책이 신속히 제시되지 않을 경우 투신권의 신뢰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밖에도 투신권의 목줄을 압박하는 다른 요인은 주식형 펀드에 편입돼 있는 투기등급채의 처리 문제. 전체 규모 30조원에 육박하는 주식형펀드는 현재 1년 이상된 펀드만도 상당한데다 이 펀드들이 환매대기 자금으로 몰려 있어 투신권의 자금숨통을 죄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 지난해 대우사태때 대우와 비대우로 분리하면서 기존 공사채형을 주식형으로 전환한 펀드도 만만치 않은 투기등급채권을 보유하고 있어 판매사들이 이를 미매각으로 떠안고 있는 실정이다.
금감원은 이같은 투신권의 상황을 고려해 세법 개정 등 적지 않은 난관이 있지만 신상품 허용 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는 상황임을 감안, 환매에 대비한 대책을 지속적으로 강구해 나갈 입장을 비쳐 조만간 투신권의 유동성을 압박하는 투기등급채 처리에 대한 해결책이 나올 것으로 업계에서는 기대하고 있다.
김태경 기자 ktitk@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