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미래에셋이 투신운용사를 설립해 지난 21일 금감위로부터 인가를 받아 내달부터 영업을 개시할 예정이며 KTB자산운용도 투신사 설립을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마이다스 유리에셋 리젠트 등도 투신사로의 전환을 위한 준비에 본격적으로 들어가는 등 업계 전반적으로 위기탈출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24일 투신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 KTB자산운용은 투신사를 설립하고 두개의 조직을 병행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들고 경쟁력을 유지하기에도 어려울 것으로 판단해 자산운용과 투신운용의 조직을 합병시키고 기존 뮤추얼펀드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투신산업에 공격적인 영업전략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같은 자산운용사들의 투신사 설립에 대해 중복된 조직으로 인한 조직의 비효율성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아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설립보다는 전환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대한 법률규정이 없고 정부 또한 이를 허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현재로서는 투신사를 설립하는 길 외엔 다른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투신사를 설립한다고 하더라도 자칫 운용에 소홀해질 수 있고 인력을 추가로 채용하는 등 비용이 만만치 않다”며 “이밖에도 설립에 따른 자본금 증자 주주들의 이해관계 영업력 등이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자산운용사들의 이같은 생존과 결부된 움직임은 정부가 투신사 위주의 정책을 남발하면서 정작 화려하게 출발시켰던 자산운용시장에 대해선 아무런 조취도 취하지 않고 있어 시장을 왜곡시키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지적이다.
이러다 보니 투자자들의 신뢰를 잃고 신상품을 허용해줘도 자금유입이 힘들어지고 있는 투신산업에 정책의 포커스를 맞추고 있어 오히려 정부의 운신 폭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차라리 정부가 개입하는 방식보다는 업계 자율에 맡겨 적자생존의 법칙이 적용되게끔 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투신업계의 자생력과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다.
김태경 기자 ktitk@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