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투신사들은 대우그룹 계열사 워크아웃의 경우 국가 위기상황을 감안, 손해를 감수하고 이자탕감과 일부 원리금 상환에 협조를 해줬지만 일반 기업들의 워크아웃을 대우 워크아웃과 같은 조건으로 채무 재조정을 해달라는 서울보증보험의 요구에 동의 할 수 없다고 강력 주장하고 있다. 또 대우보증채 6조원중 이미 지급받은 7000억원을 제외한 나머지 5조 3000억원의 지급도 계속 지연되고 있는 현실에서 일반 워크아웃 기업에 대한 채무재조정은 말도 안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채권단들은 우선 대우 보증채의 원리금에 대한 이행 계획을 실행하고 이후 일반 워크아웃 기업들 문제에 대해 협의에 들어갈 방침이다.
현재 일반 워크아웃 기업의 경우 대부분 만기 도래하는 회사채를 차환시키고 있으며 투신이 지급받아야 할 금액은 1조3000억원에 달하고 있어 채권단들의 불만이 누적되고 있다.
27일 투신업계에 따르면 서울보증보험은 일반 워크아웃 기업들을 대우계열사 워크아웃과 같은 조건으로 채무재조정을 해서 손실 부담을 줄이려는 계획이지만 투신권의 강력한 반발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보증은 자체 경영정상화를 통해 원리금을 지급하는 게 바람직하지만 만일 여의치 않을 경우 추가 공적자금을 지원받아 원리금을 지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보증이 내세우는 이같은 자체 경영 정상화의 근거는 보증보험 시장에서의 독점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는데다 기업들의 상황이 호전되면 서울보증의 경영 여건도 같이 좋아지기 때문에 지금의 위기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판단은 다분히 낙관적인 상황을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다는 게 채권단들의 입장이다.
현재 서울보증은 대우보증채 대지급분 6조원 가운데 7000억원을 지급했으며 나머지 원리금은 자금조달의 어려움으로 지급이 계속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김태경 기자 ktitk@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