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금융계에 따르면 관련업계 자율결의 형식등을 빌어 기관투자가에 대한 수익증권 환매제한 조치가 내려진 이후에도 공신력을 인정받기 위해 선별적으로 미매각 환매에 나섰던 일부 증권사들조차 이달 중순이후 환매를 완전히 중단했다. 사전에 자금을 확보해 이를 기반으로 기관투자가에 대해서도 만기도래 또는 대우채권이 편입되지 않은 수익증권을 환매해줬던 삼성, LG증권등이 이처럼 환매 전면중단조치에 가세한 것은 사실상 증권 및 투신업계의 자금사정이 거의 바닥수준에 근접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더욱이 상당수 증권사들은 환매제한을 받지 않는 일반 법인고객의 규모가 큰 수익증권펀드에 대해서도 무조건 환매를 중단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중견 S ·H증권, 대형사인 H· L증권등 거의 대부분의 증권사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투신업계 구조조정등에 대한 위기감이 관련업계의 모럴 해저드로 이어져 시장의 거래질서가 흔들리는 상황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사실상의 거래중단 현상은 일반 기업체등의 유동성 위기로 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일부 증권사는 은행등 기관투자가에 대해 수익증권을 환매해주는 대신 펀드에 편입된 채권을 실물 그대로 넘겨주되, 최근 급격히 상승한 금리수준을 고려해 일부 손실을 감수하는 방식을 택하는 등 거래관계를 고려한 변칙적인 해결책도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들의 이같은 심각한 자금난에도 불구하고 은행등 자금 잉여 금융기관들은 증권업계에 대한 콜자금 공여를 기피하는 등 구조조정에 대한 불안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는 지적이다.
성화용 기자 yong@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