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금융계에 따르면 6대 채권은행 외에 국민, 한미, 하나등 총 9개은행이 대우증권에 5천5백50억원을 신규로 대출한 후 이를 출자전환토록 한 당국의 방침은 기본적으로 외국인지분에 대한 경영권 방어의 성격이 강하며, 이를 통해 당국은 총 33~34%의 지분을 확보해 대우증권 매각등 처리작업을 주도적으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의 이같은 의지가 확실해진 이상 대우증권 처리 문제와 관련, 국내 원매자를 전격 물색하는 방안이 구체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격협상등에서 난항이 예상되는 해외매각에 비해 수월하며, 단기간에 작업이 마무리 되는 등 대우그룹 구조조정 전반에 긍정적인 측면이 많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당국과 대우그룹은 최근 일부 국내은행에 비공식 경로로 대우증권 인수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실권주 인수 및 제3자 우선배정등을 통해 20% 안팎의 지분 취득이 가능한데다 나머지 채권은행으로부터 지분 일부를 매입할 경우 지배주주로 부상할 방법은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대우증권 인수가 가능한 곳으로는 현재의 재무상태등을 기준으로 국민, 주택등 대형 우량은행이 거론되고 있으며, 특히 이번에 6대 채권은행외에 신규대출 및 출자전환에 참여하는 국민은행이 유력한 후보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국민은행측은 최근 부국금고에 1천억원을 출자하는 등 자회사 출자한도가 많이 남아있지 않은데다, 최근 시황이 나빠져 계획중인 유상증자를 통해 충분한 잉여금을 확보하기 어려운 등 여건이 좋지 않다는 입장이다. 또 당국 및 대우측과 어떤 구체적인 협의에 들어간 바 없다고 강력히 부인하고 있다.
반면 국민은행이 증권자회사를 필요로 해 꾸준히 설립 및 인수를 검토해왔고, 최근 대우증권과의 전략적 제휴를 깊숙히 검토한 바 있으며, 국내 최대의 소매은행과 국내 최대의 증권사가 결합하는 형태로 충분한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등이 인수설의 배경으로 꼽히고 있다.
성화용 기자 yong@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