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1월 기준 전국 미분양주택 현황 / 자료제공=국토교통부
국토부는 1월 미분양과 관련해 “작년 4분기 분양 물량이 늘어나면서 발생한 미분양이 신고되면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분기 분양물량은 9.9만여 호로 지난해 분기 기준 가장 많은 물량이 쏟아졌다. 분양가 및 금리 상승 등으로 청약시장 상황이 점점 어려워지면서, 지난해 3분기부터 건설사들은 ’밀어내기 분양‘을 통해 분양물량을 일거에 쏟아냈던 바 있다.
다만 같은 기간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후 미분양은 7546호로 전월(7518호) 대비 0.4%(28호)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역별 미분양 물량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1만2257호로 전월(1만1076호) 대비 10.7%(1181호) 증가했고, 지방은 6만3102호로 전월(5만7072호) 대비 10.6%(6030호) 증가하며 비율로는 비슷한 추이를 보였다.
통상적으로 건설업계는 미분양 물량의 ’심리적 안정선‘으로 6만 호 규모를 들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기준 이미 6만호 선은 깨졌고, 1월에는 이 같은 추세가 꺾이기는커녕 더욱 심화됐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요새는 지역 건설사들은 당연하고 대형사들도 분양을 미루거나 피하고 싶어하는 분위기가 강해졌다”며, “2010년쯤 분위기가 이랬던 것 같은데, 이럴 때일수록 정부가 분양이나 공급 시기를 탄력적으로 조절해줄 수 있는 정책을 펴지 않으면 작은 회사들은 살아남을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2023년 1월 전국 주택건설 실적 추이 / 자료제공=국토교통부
문제는 이 같은 침체된 분위기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미 연방준비제도가 22일(현지시간) 공개한 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회의 참석자 대부분은 기준금리를 25bp 인상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일각에서는 1월 개인소비지출물가(PCE)가 반등하면서, 미 기준금리가 최고 6.5%대까지 오를 수 있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채권시장 전문가들은 다음 달 FOMC에서 미국 기준금리가 다시 한 번 빅스텝을 밟을 것(0.5%p 인상)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렇다 보니 매매시장 역시 차갑게 얼어붙기는 마찬가지였다. 올해 1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만576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22.12월, 2만8603건) 대비 9.9% 감소한 수치인 동시에, 전년 동월(‘22.1월, 4만1709건)과 비교하면 38.2%나 감소한 수치다. 5년 평균 1월 거래량 대비로는 수도권은 71.2% 감소, 지방은 56.0%나 줄었다.
공급 역시 시원치않다. 올해 1월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국 2만1425호로 전년동기(3만9614호) 대비 45.9%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착공실적 또한 전국 1만5612호로 전년동기(1만8848호) 대비 17.2% 감소했고, 분양실적은 전국 1852호로 전년동기(1만9847호) 대비 90.7%나 감소하며 사실상 전멸한 수준에 다다랐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