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대표는 13일 오전 주주서한을 통해 “카카오는 지난 1년 반 동안 그룹 지배구조를 속도감 있게 개편하고 전사적인 비용 효율화를 동시에 진행해 미래 성장에 집중할 수 있는 재무 구조를 마련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거버넌스 효율화는 정 대표가 지난 2023년 9월 CA협의체 사업총괄을 맡은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핵심 과제다. 정 대표가 사업총괄로 취임했을 당시 카카오 계열사는 142개였다.
이를 대표이사 선임 시점인 24년 3월에는 132개로, 현재는 99개까지 줄였다. 2년 만에 계열사의 30%를 감축한 셈이다. 카카오는 인공지능(AI) 시대 핵심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성과 함께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려는 노력의 산물이라고 설명했다.
핵심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재무 체질 개선도 성공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카카오의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한 1859억원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현재 카카오는 AI와 카카오톡 결합을 통한 새로운 성장 모멘텀 실현에 나서고 있다. 5000만 사용자 모두가 카카오톡을 통해 AI를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개인의 필요와 취향에 맞춰진 AI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달 말 출시되는 오픈AI와의 공동 프로덕트인 ‘챗GPT 포 카카오’는 별도 앱 설치 없이 카카오톡 채팅탭에서 바로 챗GPT를 사용할 수 있다.
온디바이스 AI ‘카나나 인 카카오톡’도 출시를 앞두고 있다. 자체 경량 모델 ‘카나나 나노’를 활용해 스마트폰 안에서만 작동하며,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안전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지난 8월 공개한 MCP와 에이전틱 AI 플랫폼을 통해 외부 서비스를 에이전트로 연결하는 AI 생태계 확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외에도 정 대표는 주주서한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 대한민국 AI 인재 육성, 소상공인 지원을 핵심 축으로 하는 책임 경영 강화 방향성을 공개했다.
카카오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주요 경영진 대상이었던 총주주수익률(TSR) 연계 보수체계를 올해부터는 전 임원으로 확대 적용한다. 또한 향후 5년간 500억원을 투자해 AI 인재를 육성하고 ‘소상공인 통합지원 TF’를 신설해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
정 대표는 “올 하반기부터는 AI와 카카오톡의 결합을 통한 또 한번의 일상 혁신을 본격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정채윤 한국금융신문 기자 chaeyu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