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는 8일 실제 인수에 필요한 자금에 대한 다양한 전망에 직접 입장을 밝혔다. 이 회사는 “홈플러스의 총 자산은 약 6조8500억원 부채는 약 2조9000억원으로 순자산 기준 약 4조원에 달한다”며 “여기에 홈플러스의 브랜드, 사업 지속 가능성, 보유 부동산 등을 반영한다면 전체 기업가치는 약 7조원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서울회생법원이 지정한 조사위원인 삼일회계법인이 제출한 보고서에 근거했다.
그러면서 홈플러스는 “이번 회생절차의 구조는 이 수치만으로 설명되지 않는다”며 “기존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2조5000억원에 달하는 보통주 투자에 대해 일절 권리를 주장하지 않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에 따르면 새로운 인수자는 기존 지분 인수에 대한 부담 없이 신규 자금 투입을 통해 곧바로 지배권을 확보할 수 있다. 홈플러스는 “인수자는 홈플러스 조사보고서 청산가치인 약 3.7조원 수준으로 평가해 인수하는 게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홈플러스는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자산은 약 4조8000억원 규모”라며 “부동산 자산을 담보로 활용할 경우 일반적인 담보인정비율(LTV)을 적용하면 약 2조 원 내외의 자금 차입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 회사에 따르면 현재 홈플러스의 전체 부채 중 즉시 상환이 요구되는 채권(매입채무 유동화 전단채, 메리츠 대출 등)은 약 2.5~2.7조 원 수준이다. 홈플러스는 “인수자가 담보 차입 2조원을 조달하고, 나머지 부족분을 현금으로 보완한다면, 실제로 투입해야 할 자금은 1조 원 이하로 축소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홈플러스 인수 구조를 ‘전세 낀 아파트’로 비유했다. 홈플러스는 “7조원짜리 아파트에 2조9000억원의 전세가 들어가 있고, 전 주인(대주주 MBK)은 자신의 지분을 포기하기로 했다”며 “새 매수자는 이 아파트의 부동산을 담보로 2조 원을 빌려 전세 일부를 갚고, 남은 일부만 현금으로 메운다면, 실제 현금 1조 원 미만으로 아파트를 소유할 수 있게 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