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태펀드 확대 vs 규제 타파” 이재명·김문수 벤처 정책 분석 [대선 공약]](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5052410002801669dd55077bc212411124362.jpg&nmt=18)
이재명 후보는 '모태펀드 확대'와 제도 개편 등 국가 주도 전략을 앞세운 반면, 김문수 후보는 '규제 타파'와 민간 중심 생태계 조성, 해외 투자 유치에 방점을 찍었다.
지난해 기준 국내 벤처투자시장 규모는 약 6조원이다. 이를 위해 모태펀드 중심 공공자금 공급을 확대하고, 연기금·퇴직연금 등 민간 장기자금의 유입을 유도해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벤처는 물론 첨단산업 전반을 키우는 국가 주도 전략이다.
반면 김문수 후보는 정부가 직접 투자하기보다는, 규제를 완화해 민간이 알아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규제혁신처 신설 ▲자유경제혁신기본법 제정 ▲AI·우주·바이오 등 전략기술에 대한 대통령 직속 위원회 구성 등을 통해 민간의 자율성과 투자 여건을 보장하겠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해외 IR 활동에 나서겠다는 '해외세일즈' 공약도 포함했다. 벤처투자만 따로 강조하기보다는, 전체 산업이 혁신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고 해외 진출을 돕는 데 방점뒀다.
이재명 후보는 직접투자, 김문수 후보는 제도 환경 조성과 글로벌 투자 유치에 무게를 실었다는 차이가 분명하다.
이재명 후보의 경우 '연기금·퇴직연금의 벤처투자 허용'이나 'BDC(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 도입' 등 제도 개선안이 포함됐지만, 실제 입법이나 제도 변경까지는 넘어야 할 벽이 많다는 것이다. 한 VC 관계자는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등 다수 부처와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단기간 내 현실화되기 어려운 구조"라며 "정책 의지는 높지만 실현 가능성은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문수 후보의 공약은 규제 혁신과 해외 투자 유치 등 '환경 조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구체적인 제도 설계나 재정 계획이 뒷받침되지 않아 "너무 비약적이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규제를 푼다고 해서 글로벌 VC 자금이 자연스럽게 들어오지는 않는다"며 "세부 육성 방안 없이 외교나 IR만 강조하는 건 정책 공백을 낳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하랑 한국금융신문 기자 r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