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이용 패턴 파악과 서비스 개선점 발굴을 위해 ‘택시 이동문화에 대한 이용자 인식 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 사진제공=카카오모빌리티
이미지 확대보기이번 조사는 카카오모빌리티가 모바일 리서치 오픈서베이에 의뢰해 수도권 거주 성인 남녀 총 953명을 대상으로 7월 26일부터 일주일간 진행됐다. 조사대상은 배회영업 택시 이용 경험이 있으면서 1개월 내 택시 플랫폼으로 호출한 이력이 있는 이용자다.
수도권 거주 성인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기존 배회영업 택시 이용 시 불편했던 점을 묻는 질문(복수응답)에 ▲큰 길로 나가 택시를 잡는 과정(61.9%) ▲택시 승차까지 소요시간 예측 불가(61%) ▲택시 배차까지 오랜 시간 소요(59%) ▲승차거부(56.6%) ▲소요 시간 및 요금 사전 파악 불가(48.9%) 등을 꼽았다.
카카오T 택시 호출 서비스 이용 후 좋아진 점에 대해서는 ▲소요 시간 및 요금 예측(85.8%) ▲픽업 시간 예측(82.8%) ▲결제 편의성(82.4%) ▲원하는 곳에서 택시 승차(81.6%) ▲빠른 배차(65%) 순으로 답했다.
택시 호출 플랫폼을 활용한 승차 경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 81.9%가 ‘빠른 배차'라고 답했다. 이어 ▲도착지 정확도(51.1%) ▲이용 요금(47.9%) ▲기사 친절도(35.6%) ▲결제 편의성(26%) ▲차량 청결도(21.6%) ▲기타(0.6%) 순으로 꼽았다.
새벽 시간대, 외곽지역 호출 등 대안 교통수단이 없어 택시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도 빠른 배차에 대한 니즈가 존재하는지 살펴봤다. 호출을 포기하는 시간대를 조사한 결과, ‘3분 이상’부터 그 비율이 급등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빠른 택시 배차에 대한 이용자 니즈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별도 실증 조사를 통해 ‘택시 호출 후 배차 완료까지 소요되는 평균 시간’을 알아봤다. 그 결과 ▶카카오T(1.02분) ▶A플랫폼(1.22분) ▶B플랫폼(1.46분) 순으로 확인돼, ‘카카오T’가 타사 대비 최대 40%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이용자 호출 포기 비율이 급등한 시간대인 3분을 기준으로 플랫폼별 매칭율을 실증 조사한 결과, 카카오T의 3분 미만 매칭률은 92.2%로 A플랫폼(83.7%), B플랫폼(80.1%) 대비 높은 비율을 보였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카카오T를 통해 형성된 플랫폼 호출 시장이 택시 경험 전반에서의 고객 편의성을 높인 것은 물론, 고도화된 배차 기술로 이용자의 빠른 이동을 돕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며 “택시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이용자들의 의견을 지속 경청하고 새로운 기능 도입과 기술 고도화에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주은 기자 nbjesu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