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심전세 App v2.0 개선사항 / 자료제공=국토교통부

국토부는 이번 버전 출시를 두고 앱 이용자들과 청년들이 조언한 내용을 폭 넓게 반영했으며, 특히 앱 시세제공 범위가 좁다는 지적 및 집주인 활용성도 높여야 한다는 지적 등을 중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2.0에서는 당초 수도권 연립・다세대 등에 한정되었던 시세제공 범위를 전국 시군구까지 확대하고, 오피스텔 및 대형 아파트까지 넓혔다. 수도권 168만호에 그쳤던 시세 표본수를 전국 1252만호로 대폭 확대했다.
향후 앱을 통하면 악성임대인 여부, 보증사고 이력, 보증가입 금지여부에 이어 국세・지방세 체납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임차인이 카카오톡으로 집주인에게 신청하면 임차인 폰으로 손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집주인도 앱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일정 요건을 충족한 집주인에게는 ‘안심임대인 인증서’를 발급해주고, 이를 임차인이 본인 폰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부가기능을 추가했다. 아울러 빌라 준공 1개월 전 시세도 일부 제공하고 공인중개사의 현재 정보뿐만 아니라 과거 이력도 함께 공개한다. GIS 지도 도입, 디자인・인터페이스 등 이용자 편의도 대폭 개선한다.
원희룡 장관은 “그간 청년들과 ‘안심전세 App’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고, 그 결과를 최대한 반영하여 2.0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했다”고 설명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