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치와 동일한 수준이다. 수출 둔화 속에 민간 소비가 지탱했다.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보다 후퇴했다.
한국은행(총재 이창용닫기

속보치와 동일하다. 다만 속보치 추계시 이용하지 못했던 분기 최종월의 일부 실적치 자료를 반영한 결과 민간소비(-0.1%p), 정부소비(-0.4%p), 건설투자(-0.4%p) 등이 하향 수정되고 설비투자(+1.5%p)가 상향 수정됐다.
경제활동 별로, 제조업은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1차금속 등을 중심으로 전기대비 0.7% 감소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업이 늘었으나 전문건설업이 줄어 0.1%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 운수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등이 늘어 1.8% 증가했다.
지출항목 별로 민간소비는 준내구재(의류 및 신발 등)와 서비스(오락문화, 음식숙박 등)를 중심으로 2.9% 늘었다.
정부소비는 사회보장현물수혜를 중심으로 0.7%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토목건설이 줄었으나 건물건설이 증가하면서 0.2% 늘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가 줄었으나 기계류가 늘어 0.5% 증가했다.
수출은 화학제품, 1차 금속제품 등을 중심으로 3.1%나 감소하고, 수입은 원유, 천연가스 등을 중심으로 1.0% 줄었다.
2022년 2분기 명목 GNI는 전기대비 1.3% 증가했다. 전년동기대비 4.5% 늘었다.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줄어 명목 GDP 성장률(1.5%)을 하회했다.
실질 GNI는 실질 GDP 성장(0.7%)에도 불구하고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줄고 교역조건 악화로 실질무역손실도 확대돼 전기보다 1.3% 감소했다.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동기대비 2.1% 상승했다.
2022년 2분기 총저축률은 국민총처분가능소득(1.2%)보다 최종소비지출(3.7%)이 높은 증가율을 나타냄에 따라 전기대비 1.5%p 하락한 34.2%를 기록했다.
국내총투자율(32.3%)은 설비투자 등을 중심으로 전기대비 1.7%p 상승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