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비커스의 하이나스 2.0 시스템을 살펴보는 선장과 항해사. 제공=현대중공업그룹.
아비커스는 2일 SK해운과 18만㎥급 초대형 LNG운반선 프리즘 커리지호의 자율운항 대양횡단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이 선박은 지난달 1일 미국 남부 멕시코만 연안 프리포트에서 출발해 파나마 운하 통과하는 등 33일간 태평양을 횡단해 충남 보령 LNG터미널에 도착했다. 총 운항 거리 약 2만㎞ 가운데 1만㎞를 자율주행 솔루션 '하이나스 2.0'을 적용해 운항했다.
아비커스가 개발한 하이나스 2.0은 현대글로벌서비스의 통합스마트십솔루션(ISS)을 기반으로 최적의 경로와 항해속도를 생성하는 2단계 자율운항 시스템이다. 1단계 기술인 인지·판단 기능에 더해, 주변 환경을 인식해 조종과 제어까지 가능하다.
이번 횡단은 연료 효율을 약 7%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은 약 5% 절감했다. 운항 중 타 선박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해 충돌 위험을 100여 차례 회피했다.
고영훈 프리즘 커리지호 선장은 “아비커스의 자율운항 기술은 이번 테스트에서 항로 유지, 자율 변침 및 선박 피항조선에 있어 큰 도움이 됐고 선원 항해 업무의 편의성을 높였다”고 했다.
아비커스는 미국선급으로부터 이번 자율운항 대양횡단의 결과증명서를 받은 뒤 올해 하반기 중 하이나스 2.0을 상용화할 예정이다.
임도형 아비커스대표는 "최적 경로를 안내하는 자율운항 1단계 기술을 넘어 실제로 선박을 움직이는 2단계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테스트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며 "대형 상선뿐만 아니라 소형 레저보트용 자율운항 솔루션까지 고도화해 혁신을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