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김학동 부회장은 "오늘은 포항제철소만 생산하던 전기강판을 광양으로 확대하는 새로운 시작을 기념하는 자리"라며 "포스코는 이번 투자를 통해 포항과 광양 모두에서 세계 최고의 무방향성 전기강판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친환경차와 고급가전 시장을 리딩하는 글로벌 서플라이어의 위상을 확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포스코는 12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사에 선정되는 등 양적·질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두었지만, 오늘날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고부가가치 시장을 선도할 제품 및 솔루션 개발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광양 공장은 지난해 11월 포스코 이사회를 통해 신설이 결정됐다. 해당 이사회에서 친환경 미래소재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약 1조 원을 순차적으로 투자해 연산 30만t 규모의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 공장을 신설키로 의결했다. 현재 포스코는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 10만t을 포함해 연간 총 83만t의 전기강판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오는 2025년 공사가 완료되면 고효율 무방향성 40만t을 포함해 총 113만t의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포스코가 해당 공장 신설을 하게된 이유는 탄소중립이 새로운 세계질서로 부상하고, 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외 시장에서는 전자기기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기강판의 수요가 지속 확대되고 있어서다. 특히 친환경차 구동모터 소재인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업 IHS Markit에 따르면 친환경차용 무방향성 전기강판 수요는 2020년 32만t에서 2033년 400만t으로 연평균 20%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오는 2025년부터는 수요가 공급을 앞질러 2030년 92만7000t의 소재 부족이 발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포스코 측은 "지난 1979년 전기강판 첫 생산 이후 40년 이상 축적된 조업 노하우와 이번에 도입하는 최신예 설비를 통해 생산 가능 두께는 최대 0.1mm까지 낮추고 폭은 확대하여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대응할 계획"이라며 "이번 공사에는 연인원 21만 여명의 공사 인력이 참여해 광양 지역의 고용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