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 기장이 열차 정위치 정차 안내 시스템에 따라 열차를 정차하고 있다. / 사진제공=SR
7일 SR에 따르면 정위치 정차 시스템은 철도차량과 정차 위치 사이에 남은 거리와 진입 속도를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철도차량을 정위치에 세울 수 있도록 안내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정차 제동 체결 등 정위치 정차 후 후속 조치사항도 알려주며, 스스로 상태를 진단하여 고장 발생 시 운전자에게 운전방법을 알려주는 기능도 담당한다.
해당 시스템은 180m 전부터 열차와의 거리와 속도를 감지하며 5cm 오차범위 내에서 정위치를 자리 잡도록 유도하며, 50m 전부터는 진입속도가 5km/h를 넘을 경우 전광판이 1초 간격으로 바뀌면서 경고와 경고음을 내보낸다.
SR은 지난해 9월부터 수서차량기지 내에 시범 설치해 6개월간 운영하며 시스템의 완성도를 높여왔다. 앞으로 차량기지 내 다른 운행선로와 수서역 승장강 등으로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SR은 정위치 정차 시스템 도입을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은 물론, 인력대체 효과로 수서차량기지에서만 연간 1억원 가까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해당 시스템’ 도입 이전까지 철도차량기지에서는 열차를 유도하는 전호원이 깃발 신호와 무전기로 차량의 정위치 정차를 도왔다. 지금도 다른 철도 운영사들은 전호원이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종국 SR 대표이사는 “중대재해를 원천차단하고, ‘절대안전’이라는 경영철학을 실현하기 위한 SR의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이라며 “국내 열차 운영사는 물론 해외 철도 시장에도 진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