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금리도 인상된 가운데 대선을 앞두고 매수세가 자취를 감춘 모습이다.
25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7.3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7월 22일 조사(87.2) 이후 2년 7개월 만에 최저치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해 11월 15일부터 기준선(100)이 무너진 바 있다.
권역별로 보면 ▲도심권(용산·종로·중구) 지난주 86.1→이번 주 85.1 ▲서북권(은평·서대문·마포구) 87.9→84.5 ▲서남권(양천·강서·구로·영등포·동작·관악구) 90.6→90.1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 지난주 86.6→이번 주 85.5로 각각 하락했다.
반면 성동·광진·노원·도봉·강북구 등이 포함된 동북권은 이번 주 87.4로 유일하게 소폭 상승했다. 지난주에는 86.5를 기록했다.
거래량도 대폭 쪼그라들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124건으로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가장 적었다.
지난달에는 1058건, 이달 256건으로 아직 신고기한이 남아있지만 역대 최저치를 또 경신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전문가들은 대선이 끝나면 매매수급지수와 거래량이 다시 오를 수 있다고 봤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대선이라는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나면 점진적으로 매매수급지수와 거래량이 회복돼 이전과는 다른 양상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