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증권사 6곳(신한, 삼성, KB, KTB, 교보, 키움)이 연간 전망 리포트에서 2022년 코스피 전망치로 2800~3600포인트를 제시했다.
2021년 현재 코스피 최고치는 3316.08(장중)이고 종가 기준으로는 3305.21로, 2022년 전망치 상단은 역대 최고를 넘는 예상치다.
증권사 별 코스피 전망 밴드를 보면, KB증권은 3600, 신한금융투자는 2850~3500, 키움증권은 2950~3450, KTB증권과 교보증권은 2850~3450, 삼성증권은 2800~3400을 제시했다.
가장 높은 목표치인 3600을 제시한 KB증권의 경우 "연말 연초에 연준(Fed)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선언과 유동성 흡수가 막상 시작되면 시장 출렁임이 재현될 수 있으나, 다만 연말 연초를 지나면서 각종 우려들은 바닥을 찍을 것이며, 내년 하반기에는 경기사이클도 반등을 준비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신한금융투자는 2022년 국내 주식시장 관건은 공급망 차질과 인플레이션이 한국 기업 이익 방향성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칠 지 여부라고 봤다. 또 장기 추세 관점에서는 지난 박스피 시절과 비교했을 때 체질이 얼마나 달라졌을지에 달렸다고 예상했다.
신한금융투자는 "대선 기간 전후 신정부 출범에 따른 재정정책 기대감 및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기업 투자 증가가 코스피 방향성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국내 주식시장 수익률 궤적에 영향을 줄 두 가지 대외 변수는 연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과 11월 미국 중간선거"라고 분석했다.
올해 열린 '삼천피' 시대를 내년에도 유지할 수 있을 지 여부에 관심이 높다.
교보증권은 "2022년 한국증시는 레벨업 된 주가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합당한 근거를 찾고, 성장을 이어갈 수 있는 추가 동력을 찾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코스피 3000포인트 정착 조건은 펀더멘탈 모멘텀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신뢰, 정책불확실성에서 시작된 금융 스트레스 완화, 성장산업의 경제성장 실질 기여 등으로 생각된다"고 제시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