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자금은 국내 코로나19 확산세 지속, 반도체 업황 부진 우려 등으로 순유출 규모가 확대됐다.
채권자금은 민간자금을 중심으로 순유입이 지속됐으나 유입 규모는 전월 대비 축소됐다.
8월 원/달러 환율은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이후 상승폭을 축소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021년 8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8월 중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28억8000만 달러 순유출됐다.
8월 외국인의 국내 주식자금은 44억5000만 달러 순유출되며, 순유출 규모가 전월보다 확대됐다.
채권자금은 민간자금을 중심으로 순유입이 지속됐으나 유입 규모는 15억6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축소됐다.
원/달러 환율은 미 달러화지수 상승, 국내 코로나19 확산 지속, 외국인 국내주식 대규모 매도자금 환전수요 등으로 연중 최고치(8월 20일, 1179.6원/달러)를 경신했다가, 한국 기준금리 인상, 미국 연준(Fed) 제롬 파월 의장의 잭슨홀 연설 이후 미 정책금리 조기인상 우려 완화 등 영향으로 상승폭을 축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8월 중 원/달러 환율의 전일 대비 변동률은 0.38%로 동일했다.
전일 대비 변동폭은 지난 7월 4.3원에서 8월 4.5원으로 커졌다.
원/달러 스왑레이트(3개월)는 6bp(1bp=0.01%p) 상승했다. 국내 코로나19 확산, 주가 하락 등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 기관투자자(해외투자목적)의 외화자금수요 등으로 하락했다가 한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내외금리차 확대(15bp), 외국인의 원화투자자산 환헤지 관련 외화자금공급 등으로 반등했다고 한은 측은 설명했다.
8월 중 국내 은행간시장의 일평균 외환거래 규모는 257억1000만 달러로 전월보다 4억4000만 달러 감소했다. 원/달러(-5억1000만 달러) 및 원/위안 현물환(–5억5000만 달러) 거래가 감소한 데 기인한다고 한은 측은 설명했다.
8월 중 국내은행의 단기 차입 가산금리와 외평채 CDS 프리미엄은 낮은 수준을 지속했다. 중장기 차입 가산금리는 하락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