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는 "앞으로 원자재 수출국 중심의 통화정책 정상화 움직임이 잇따르더라도, 중장기 시계에서 보는 글로벌 통화정책 환경은 상당 기간 완화적인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며 이같이 예상했다.
센터는 다만 하반기 美 연준이 통화정책 정상화 준비 작업(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출구전략 시사)에 착수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통화정책 차별화와 관련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국면이 올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1월 인플레이션 탠트럼, 3월 러시아ㆍ브라질 정책금리 인상, 4월 캐나다 자산매입 축소, 5월 美 인플레이션 쇼크 등 세계 각지에서 인플레이션 및 통화정책 정상화와 관련된 이벤트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금리인상 시점이 빨라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졌다.
이상원·김윤경 연구원은 그러나 "통화정책 정상화(금리인상, 자산매입 축소) 움직임이 현재까지 나타났거나 근시일 내 예상되는 국가들은 원자재 수출 의존도가 높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그 외 국가들은 대부분 현재의 초완화적 통화정책 스탠스를 상당기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플레와 관련해선 상반기엔 미국 및 원자재 수출국, 하반기에는 유로존ㆍ일본ㆍ중국 주도의 물가상승 압력이 이어지다가 연말 정점 도달 후 내년부터는 둔화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책금리는 러시아ㆍ브라질은 연내 수 차례 추가 인상이 예상되며, 올 연말 콜롬비아ㆍ칠레, 내년 노르웨이 등의 인상이 에상된다고 밝혔다.
캐나다ㆍ뉴질랜드는 올 연말 자산매입 종료 후 내년말 인상 예상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들은 유로존(자산매입 PEPP은 22.3월 종료)ㆍ일본은 23년 하반기까지 금리인상 전망이 전무한 반면 미국은 22년초 자산매입 축소, 22년말~23년초 정책금리 인상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즉 10여년 전엔 글로벌 경기후퇴 후 반등 시 원자재 수출국들이 선도적으로 금리를 인상했으며, 약 1년 반 동안 진행된 후 인하 사이클로 전환된 바 있다.
연구원들은 "금융위기 때와 지금의 공통점은 대규모 위기에 따른 경기침체 후 반등 과정에서 원자재 주도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예상보다 강하게 발생하면서 원자재 수출국과 미국이 통화정책 정상화를 모색한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반면 인플레이션이 우려할 수준으로 올라오기까지의 과정이 과거보다 빠르게 전개(16개월 vs 4개월)되고 있다는 점이 차이라고 밝혔다. 정책대응의 조합은 인플레이션을 더 크게 유발하고 금리인상이 어려운 방향으로 변화시켰다고 진단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