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락 연구원은 "절대 금리 메리트를 활용한 대응은 충분히 유효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공 연구원은 "크레딧 채권의 경우도 캐리를 목적으로 한 매수 전략은 여전히 유효하다"면서 "국채 금리의 박스권 진입으로 크레딧 스프레드 역시 정체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는 "급증하는 국채 물량 부담으로 인식됐던 수급에 대해서도 역시 차츰 적응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한국의 경우 추경을 둘러싼 물량 부담이 이미 재료 노출을 거쳤고, 미국의 경우도 거듭된 부양책과 인프라 투자책이 오히려 실체를 드러낸 이후 금리에 대한 파급력이 약화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수급 이슈의 경우 초기에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한 이후 본격적으로 물량으로 반영되는 과정에서는 충격이 약화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번 수급 이슈 역시 이와 유사한 과정을 거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