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선 연구원은 "한은이 올해 성장률과 물가전망을 큰폭으로 상향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원은 "총재의 발언은 금리인상 시점에 대한 시장기대를 앞당기기에 충분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총재의 발언 중 '과도한 위험추구성향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정상화가 지연되었을 때 부작용도 크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금통위에서도 갑론을박이 있었다. 현 기조는 분명히 완화적이다. 성장률과 물가가 예상보다 빠르게 높아짐에 따라 완화의 정도는 더욱 커졌다. 연준이 완화적 기조를 유지한 상태에서 우리가 여건에 맞게 통화정책을 조정했을 때 정책 여지를 더 확보할 수 있다. 연준이 긴축에 나선 시점에서 한국이 정상화를 시작한다면 대외환경에 따라 금리를 조정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등에서 인상 시기가 빨라질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총재 발언을 통해 내부적으로 금리인상에 대한 논의가 있었음이 드러났다"면서 "미 금리인상 전에 한은의 인상이 가능함을 시사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지금은 내년 1분기(1~2월) 중 기준금리 25bp 인상 전망을 유지하지만, 1)8월 수정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전망이 추가 상향되고, 2)11월 그 흐름이 확인되는 경우 11월에 금리인상이 가능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1), 2)의 조건이 충족될 경우 인상 시점을 내년으로 미룸으로써 얻게될 정책 이득보다 지연에 따른 부담이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현재 1.15% 내외의 국고3년 금리는 1번의 금리인상을 반영한 수준이기 때문에 3년의 금리상승은 단기적으로 제한될 것"이라며 "그러나 7월 금통위부터는 금리인상이 가까워졌다는 인식, 소수의견 경계 등으로 국고3년은 하반기 1.15~1.40%에서 형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