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는 올 1분기 매출액 8조4942억원, 영업이익 1조3244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 66% 증가한 수치다. 순이익은 99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했다.
SK하이닉스는 “올 초 반도체 시장 업황이 개선되면서 호실적을 기록했다”며 “보통 1분기는 계절적 비수기이지만, PC와 모바일에 적용되는 메모리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실적에 호재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의 주력 사업인 D램은 모바일, PC, 그래픽 제품을 중심으로 판매량이 늘었다. 이에 제품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4% 증가했다. 낸드플래시는 모바일에 들어가는 고용량 제품 판매량이 늘면서 전 분기 대비 출하량이 21% 늘었다.
SK하이닉스는 D램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고, 낸드플래시 시황도 개선돼 2분기에도 호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세부적으로 D램은 2분기부터 12GB 기반의 고용량 MCP(여러 종류의 칩을 묶어 단일 제품으로 만든 반도체)를 공급한다. 또 D램 주력인 10나노급 3세대 제품의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다. 이어 EUV를 활용해 올해 안에 4세대 제품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낸드플래시는 128단 제품의 판매 비중을 높이고, 연내 176단 제품 양산을 시작할 방침이다.
아울러 SK하이닉스는 올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에 대한 의지도 드러냈다.
노종원 경영지원담당 부사장(CFO)은 “지난해 이사회 중심 책임경영 체제 강화, 반도체·디스플레이 탄소중립위원회 참여 등 ESG 경영활동을 지속해 왔다”며 “앞으로도 친환경 기술을 적극 개발하는 등 RE100(2050년까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선언) 수준을 높여가면서 반도체 산업이 ESG 모범 사례가 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