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는 "글로벌 경기반등 기대에 미국의 대규모 경기부양책 시행 등 추가 유동성 공급이 예상됨에 따라 당분간 리플레이션 트레이드가 국제금융시장을 지배하는 주요 거래전략으로 관심을 받을 수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센터의 김용준 시장모니터링본부장은 "추가 금리상승 기대에 기반한 채권 매도는 물론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저평가된 위험자산을 찾으려는 노력은 꾸준히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본부장은 "다만 리플레이션 트레이드의 투자 듀레이션은 향후 불확실성 감안해 단축을 예상한다"면서 "만약 트레이드 강도가 거세질 경우 각국 중앙은행들의 금융시장 안정 조치도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금년 들어 국제금융시장에서 리플레이션 트레이드가 급부상하면서 금리 상승 및 위험자산 가격 급등락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리플레이션 트레이드는 리플레이션(물가하락 국면에서 완만한 물가상승으로의 국면 전환)을 염두에 둔 금융거래를 총칭하는 말이다. 기술적으로는 통상 채권 매도, 수익률곡선 기울기 확대, 저평가된 위험자산 매수 등의 거래를 의미한다.
김 본부장은 "리플레이션 트레이드 영향은 트레이드의 강도가 관건"이라며 "아직까지 리플레이션 트레이드 강도가 과도한 것으로 보기 어려우나 금융거래의 속성상 쏠림 현상이 나타날 여지가 높다는 점에서 우려된다"고 밝혔다.
그는 "대내외 여건을 종합해 볼 때 리플레이션 트레이드 강도는 아직 실물 경제나 정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준에 도달하지 않았지만, 금융시장에 대한 부정적 영향은 일부 표출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