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는 "미중 양국 간 금융갈등 관련 뉴스는 단기적으로 대중 투자심리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이같이 조언했다.
센터는 "미국의 규제 강화로 중국 기업의 홍콩-본토 2차 상장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중국 당국은 장기적으로 위안화 국제화 노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최근 미국 하원은 외국기업책임법(HFCAA)을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트럼프닫기

외국기업책임법은 미국 상장 외국기업들이 감리에 불응할 경우 ADR 거래를 금지하며, 중국기업이 미 국방부 Blacklist에 등재되면 미국인은 해당 상장증권 투자가 금지된다.
양국 갈등 고조로 미 상장 중국 ADR 주가지수는 11/27~12/16일간 4.5% 하락했다.
국금센터의 이은재 연구원은 일단 "외국기업책임법이 도입되더라도 단기 ADR 상장폐지 가능성은 낮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이 연구원은 "단기 ADR 상장폐지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며 "3년 유예기간과 양국간 규제 조율 여지, 최근 중국기업 국제회계기준 준수 증가, SEC 규제마련 소요시일 등을 감안해서 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Blacklist 투자금지 영향은 불확실하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원은 "현재 글로벌 벤치마크 지수의 Blacklist 편출이 진행되고 있으나 대형 종목들이 포함되지 않아 자금유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만일 제재범위 확대로 China mobile, CNOOC 등 자회사·계열사를 통한 간접 상장증권을 포함하거나 PetroChina, Tencent, Alibaba 등 대형사가 추가 지정될 경우 영향은 확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까지는 중국기업 편출에 따른 국내 주식시장 반사이익 영향도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MSCI EM지수내 한국 비중 상승은 0.06%p 수준으로 2,000~3,000억원대 자금유입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