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는 "외국인들의 지속적인 수요 등으로 향후 국채금리의 가파른 상승은 억제될 것이지만, 그 폭은 구조적 리스크와 디레버리징 정책 등이 변수"라고 짚었다.
센터는 "중국 국채금리는 5월 이후 7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면서 연초 수준을 상회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진단했다.
중국의 10년 금리는 4월 8일 2.48%로 역사적 저점을 기록한 뒤 11월 3.3% 내외로 반등했다. 미·중(10년) 금리차가 11월 중 250bp를 넘는 등 내외금리차도 크게 확대됐다.
센터의 권도현·김윤경 연구원은 금리 상승의 이유로 ▲중국경제의 상대적으로 빠른 회복 ▲ 통화정책 완 화기조 축소 ▲국채 공급 증가에 따른 수급 부담 ▲국영기업 디폴트에 의한 신용위험 부각 등을 곱았다.
연구원들은 "중국은 코로나19 초기억제에 성공해 2분기부터 투자와 수출을 중심으로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인민은행은 경제여건 개선과 가파른 신용 증가세 억제 필요성 등으로 중립적 스태스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인민은행은 시장의 추가 금리인하 예상과 달리 대출우대금리(LPR)를 7개월 연속 동결하고 5월 이후 자금시장 유동성을 공급을 조절해 단기금리 상승을 용인했다.
수급 부담 역시 금리 상승을 견인한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10월까지 국채 순발행이 2.92조 위안으로 전년비 268% 급증했기 때문이다.
연구원들은 "외국인투자 증강도 불구하고 최대 매입주체인 은행들이 구조화예금 조달 감소 등으로 추가매수 여력이 제한되고 국유기업 디폴트 증가도 국채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다만, 중국 국채의 WGBI 편입1과 내외금리차 확대, 위안화 강세 기대 등으로 외국인 자금이 지속 유입되면서 시장의 수요 기반이 확대될 전망했다.
내년 수급 요인과 경기회복 본격화로 금리 상승 압력이 이어질 수 잇으나 중국 국채의 WGBI 편입과 내외금리차 확대, 위안화 강세 기대 등으로 외국인 자금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시장 수요기반이 활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11월중 잇따른 국유기업 디폴트에 의한 신용위험 우려로 운용사들이 채권펀드 환매요구에 대응해 현금확보에 나서면서 국채나 정책은행채를 매도할 수 밖에 없었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