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금투 국내주식팀 애널리스트들은 "12월 중 미국 정책의 힘이 소진된다"면서 이같이 내다봤다.
이들은 "코로나19 대응책 중 중요도와 실효성 모두 높았던 소득 지원 및 실업 수당 지급 정책이 종료될 예정"이라며 "Fed의 긴급 대출 프로그램도 일부 중단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19일 므누신 재무장관은 회사채 매입, 지방채 지원, 중소기업 대출 지원, 자산유동화 증권 지원(SMCCF/PMCCF, MLF, MSLP, TALF) 등과 관련한 예산 중 미집행자금인 4,540억달러를 재무부에 반환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전방위적으로 시행됐던 Main Street 지원 프로그램들의 종료는 경기 회복 속도 후퇴 우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애널리스트들은 그러나 "옐런 前 Fed 의장이 재무장관으로 복귀한다는 소식은 이런 우려를 줄이는 데 한몫을 했다"면서 "상원 인준 절차가 남아있으나 정치권에서 반대 여론이 크지 않은 인사로 무난히 통과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들은 "옐런이 미국 역사상 첫 여성 재무장관으로 임명될 날이 머지 않았다. 현재 GSA(미연방총무청)의 정권 인수 절차 승인에 따라 바이든 행정부로의 정권 이양이 진행 중"이라며 "내각 구성과 내년 1월 대통령 취임식 전까지 재정 정책의 일시적 공백은 불가피하나 바이든 대통령, 옐런 재무장관, 파월 연준 의장이 지휘하는 통화 및 재정 정책은 한 목소리를 낼 가능성이 높다"고 풀이했다.
이들은 "정책 공백 우려를 지울 수 있는 조합"이라며 "이는 경기가 회복해도 Fed가 완화적 스탠스를 지속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을 해소시키는 조합이기도 하다"고 평가했다.
2016년 옐런의 고압경제(High pressure economy)를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충분한 경기 부양을 위해 고용 시장의 유휴 자원 소진을 통한 과열 유도, 총수요 회복이 이행돼야 한다는 내용이며, 올해 8월 연준이 채택한 평균물가목표제(AIT)도 이런 아이디어의 연장선상에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유동성 공급만으로 투자 등 민간 수요 를 이끌어내기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내년에는 재정 확대가 불가피하다"면서 "완화적 통화 정책 환경은 2024년까지 재정수입 대비 순이자지출 비율을 감소시켜 정부의 이자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