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는 '2021년 신흥국 전망 자료'에서 "경기부양책에 따른 소비진작 효과가 이어지고 글로벌 교역 증가로 수출도 금년보다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나 국별, 지역별 회복 속도는 차별화될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아시아(8.0%)는 아세안5 중심의 수출과 내수회복으로 가장 빠른 반등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나 여타 지역은 상대적으로 부진할 것으로 봤다.
신흥유럽 3.9%, 중남미 3.6%, 아프라카 3.1%, 중동 3.0%의 반등을 예상했다.
신흥국 리스크 요인으로는 재정 리스크, 통화정책 한계, 지정학적 긴장 및 정치불안 등을 꼽았다.
정부부채가 빠른 속도로 증가(19년 대비 +12%p)하면서 이자부담 및 외화표시 부채 비중도 동반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브라질(GDP대비 정부부채 103%), 인도(90%), 남아공(83%)이 취약하다고 분석했다.
전통적 통화완화 여력이 소진됨에 따라 신흥국에서도 전례없는 QE가 시행되고 있으나 자본유출, 물가상승 압력 등으로 지속 가능성이 제한된다고 진단했다.
코로나19로 다소 완화됐던 남아시아, 중동, 터키 등의 지정학적 긴장이 재차 고조될 수 있으며 개도국 내 백신/치료제 보급 지연도 불안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밝혔다.
박미정 연구원은 "신흥국들은 내년 경기 반등에도 불구하고 팬데믹 불확실성과 내재적 취약성이 지속돼 위기 이전 수준의 성장동력을 회복하기는 역부족일 것"이라고 풀이했다.
그는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신흥국 경제가 더 이상 선진국에 비해 월등한 우위를 점하지 못하면서 글로벌 성장 견인력이 약해질 소지가 있다"면서 "기존 취약 신흥국 이외에도 브라질, 인도 등 경제규모가 큰 국가들의 성장세가 예년에 미치지 못하고 경제 펀더멘털에 대한 우려가 부각될 가능성에도 주목하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