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지난 11일 금융위원회와 국민들의 현금이용 편의성 저하를 방지하고, 국내 ATM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ATM 운영개선 종합방안을 은행권과 공동으로 마련한다고 밝혔다.
한국은행과 금융위는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산하의 금융포용위원회를 통해 이번 종합 방안을 추진한다.
금융포용위원회는 ATM 현황 파악 기반을 마련하고, 금융기관 간 협의 채널 조성과 ATM 대체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지급수단의 디지털 전환에 수반되는 부작용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최근 은행권 ATM 설치규모가 감소하는 가운데 지역별 ATM 설치 불균형 등으로 향후 국민들의 현금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은행권 ATM 설치 대수는 5만 5807대로 2013년 최고치 7만 105대를 기록한 이래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국내 ATM의 절반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서울이 단위면적당 ATM 약 36대로 가장 많으며, 강원과 경북, 전남 등이 0.3~0.4대로 가장 적어, 지역간 격차는 약 100배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은행간 공조 없이 각 은행별 ATM 운영 전략을 지속할 경우 지역별로 ATM이 과잉 또는 과소 공급되는 등 불균형이 심화되고, 디지털 지급수단이 확산되는 가운데서도 현금을 주로 사용하는 계층이 지급수단 이용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국은행과 금융위는 은행권과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국내 ATM 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국민들의 현금 접근성 보장을 위한 종합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먼저 ATM 정보 활용 및 정책 대안 마련에 필요한 은행권의 ATM 설치·운영 관련 세부 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를 추진한다. ATM 위치 등 세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장애인용 ATM 위치정보 모바일 앱’ 개발과 연계해 은행권이 공동으로 고객용 ATM 정보제공 앱 개발을 추진한다. ‘장애인용 ATM 위치정보 모바일 앱’은 금융위와 한국은행이 지난 6월에 발표한 장애인 친화적 ATM 이용환경 조성의 일환이다.
ATM 운영 전략에 의해 중복·과잉투자되거나 급격하게 폐쇄되지 않도록 은행권간 ATM 공조 방안 논의도 이뤄진다.
대형 시중은행 상호간이나 대형 시중은행과 지방은행간, 전국적 규모의 금융인프라를 갖춘 우정사업본부(또는 상호금융)와 은행간 점외 직영ATM 공동운영 방안 등이 논의된다.
이중 시중은행 상호간 ATM 공동운영은 지난 4일부터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이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공동운영에 돌입했다.
현재 공동 ATM은 이마트 하남점·진접점·광산점·동탄점 등 4개 지점을 우선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시중은행 고객은 공동 ATM을 통해 입·출금, 이체, 조회 등 업무를 볼 수 있다.
하남점은 KB국민은행이, 진접점은 신한은행, 광산점은 하나은행, 동탄점은 우리은행이 전담해 공동 ATM을 운영한다.
한국은행과 금융위는 올해 하반기 중 은행권과의 협의를 통해 ATM 설치 정보를 수집·관리하기 위한 CD공동망 정비 및 데이터 표준화 사업을 실시하며, 2021년에는 수집된 ATM 정보를 바탕으로 ATM DB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ATM의 급격한 감소 방지 방안은 구축된 DB를 활용해 금융포용위원회에서 은행권을 중심으로 검토해 나갈 예정이며, 필요시 VAN사 등 여타 이해관계자들도 논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