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글로벌 시장의 OLED TV용 패널의 매출액 기준 점유율은 2019년 8.3%(26억 5800만 달러, 약 3조 2200억 원)에서 2024년 21.4%(77억 6200만 달러, 약 9조 4000억 원)으로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은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번 세미나는 이와 같은 성장세 예측에 따라 진행되는 것으로 세미나허브는 올해 상반기에도 디스플레이 교육 세미나를 진행하여 약 150명이 참여한 바 있다.
먼저, 세미나는 1일차인 26일에는 폴더블, OLED 디스플레이 소재/부품/공정 기술에 대해 발표한다.
연사로는 서민철 경희대 교수(OLED 증착 기술 및 WOLED QDOLED 구조 비교)와 이정노 박사, 전자부품연구원(프리미엄 TV를 위한 OLED, QLED 기술 이슈 및 현황), 윤조호 메리츠증권 팀장(중소형 OLED 산업 분석과 폴더블에서 찾는 기회), 조준혁 이그잭스 연구소장(폴더블 디스플레이 개발 이슈 및 점착소재), 김현재 연세대 교수(OLED 디스플레이를 위한 TFT 기술), 배병수 KAIST 교수(폴더블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한 커버 소재 개발 이슈), 이현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사(AR/VR용 OLEDoS 공정기술 및 기술동향)이 나선다.
이어 27일에는 강민수 IHS마킷 수석(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이슈 및 시장전망), 김영우 한국광기술원 박사(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기술 및 산업동향), 김재현 한국기계연구원 박사(미니/마이크로 LED 대량 전사 기술 및 대형 디스플레이 응용 방안), 문대규 순천향대 교수(미니 LED 및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개발 및 이슈), 최광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마이크로 LED 접합 공정을 위한 솔더 기반 접합 기술), 배완기 성균관대 교수(퀀텀닷 디스플레이 재료 이슈), 송준호 고려대 교수(퀀텀닷 디스플레이 적용현황 및 이슈)의 강연이 진행된다.
세미나허브는 동 세미나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참가자 대상으로 오는 9월 23일까지 등록을 접수하고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또는 전화로 문의 가능하다.

△2019년 하반기 디스플레이 교육세미나 포스터/사진=세미나허브
오승혁 기자 osh0407@fntimes.com